결혼식 초대장을 받으면 두려워진다는 사람들이 많다. 축의금 부담 때문이다. 예전에는 결혼식장에 직접 가서 밥을 먹더라도 5만원 내는 게 대세였지만 요즘에는 민폐 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축의금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지난해 12월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축의금 해결법이 뒤늦게 주목받아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결혼식장에서 밥 안
결혼식 초대장을 받으면 두려워진다는 사람들이 많다. 축의금 부담 때문이다. 예전에는 결혼식장에 직접 가서 밥을 먹더라도 5만원 내는 게 대세였지만 요즘에는 민폐 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다.온라인 커뮤니티에 ‘결혼식장에서 밥 안 먹고 축의금 낮추면 안 되나’라는 글을 올린 A씨는 지난해 12월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코믹스’에 올라온 내용을 바탕으로 결혼식 축의금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슈카는 해당 영상에서 “요즘 웨딩홀 평균 식대가 인당 6만~9만원으로 고가를 기록하다 보니 축의금을 5만원만 내고 밥까지 먹고 가면 ‘진상’으로 찍히는 분위기”라며 “과거에는 식대가 3만5000원에서 4만원 사이였다 보니 축의금을 5만원만 내면 끝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평균 식대보다 조금 많은 8만원짜리 지폐가 없다 보니 10만원을 내자니 과하고, 밥값보다 적은 5만원을 내자니 좀생이 같아 보일까 걱정하게 되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그는 “이제는 와서 얼굴 보고 축하해주는 사람보다 차라리 안 와서 밥 안 먹고 축의만 하는 사람을 더 좋아하게 된다”며 “이렇다 보니 ‘차라리 밥을 안 주면 안 되나’ 그런 생각도 든다” 밝혔다.
슈카는 해결법도 제안했다. 그는 “우리가 굳이 식장에 가서 스테이크를 썰어야 할 이유는 없다”며 “이런 건 웨딩업체가 돈을 벌기 위해 하는 것이니 간단한 다과 정도만 결혼식 때 대접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누리꾼 상당수는 해당 글에 동감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친한 지인들만 모여 축하해주고 축하받는 결혼문화가 정착돼야 한다”, “지금은 다른 사람 돈으로 결혼식을 하는 셈” “밥 먹지 않고 5만원 계좌이체하는 게 낫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中, 판다 한쌍 더 보낸다…영부인까지 나서 환영 메시지 보낸 미국질 바이든 여사까지 나서 환영
Read more »
국힘 17명, 산업은행 부산이전 법안 발의... 반응은부산 여당 의원들 22대 국회에 바로 접수, 노조는 '반대' 시민사회는 '환영'
Read more »
'범죄에 노출된 청소년들, 적극 대응해야'뉴노멀시대 청소년 문제 해결 위한 국회 공동워크숍 개최
Read more »
동학에서 '구원의 길' 찾다[김삼웅의 인물열전 - 동학·천도교 4대교주 춘암 박인호 평전 6] 삶의 지향을 동학에 입도함으로써 해결
Read more »
[신장섭의 기업과 경제] '생산적 복지' 확대의 길국민연금·의료개편 재원성장률 3~4% 복원땐 가능젊은 노령인구 고용 늘리고부동산유동화로 소비촉진 등창조적 해결 방안을 찾아야
Read more »
성금 이어지고... '바다의 시작' 캠페인, 심상찮다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이 해양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 위해 시작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