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상승에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 중위 소득 가구, 집 한 채 사려면 10.26년 저소득 가구는 중간 가격 집 구매에 28.1년
저소득 가구는 중간 가격 집 구매에 28.1년 최근 서울 주택가격이 치솟으면서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전세비용 마련에도 6년 가까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 비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서울 PIR은 1월 10.18, 2월 10.17, 3월 10.1, 4월 10.26, 5월 10.25, 6월 10.26 등으로 매달 상승하고 있다.PIR은 주로 중위 소득 계층이 중간 가격대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를 기준점으로 삼는다. 예컨대 PIR이 10.26이라는 것은 중위 소득 가구가 10.26년간 급여 등의 소득의 모두 모았을 때 지역 내 중간 가격의 주택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주거비 부담은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일수록 더욱 커졌다. 저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려면 28.1, 고가 주택을 구입하려면 무려 88.2년이나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고소득 가구의 경우 중간 가격 주택 구입까지는 4.7년이 걸리고 고가 주택은 14.6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IR의 상승은 가구 소득에 비해 집값 상승세가 가파르기 때문이다.6월 기준 서울 J-PIR은 5.61로 전년 대비 0.16포인트 올랐다. PIR과 마찬가지로 중위 소득 가구가 월급을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5.61년 모아야 서울의 중간가격 전셋집을 구할 수 있다는 의미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서울 아파트 40대가 가장 많이 샀다…23개월 만에 30대 추월(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지난 7월 서울 아파트 40대 매입 비중이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30대를 추월했다.
Read more »
서울 그린벨트 풀어 1만가구…제2의 내곡·세곡 나오나 기대감서울·수도권 택지확보 대책MB정부 이후 12년 만에 풀려그린벨트 해제 지역 11월 발표강남·서초·송파구 가능성 높아10년 걸리는 사업 속도가 관건수도권 내년 착공 3만6000가구준공후 미분양되면 LH가 매입
Read more »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40대 약진…2019년 이후 첫 30% 돌파(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30대에 이어 40대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Read more »
‘레고모양 호텔은 처음이지’ 강남 스카이라인 확 바뀐다잠원동 더리버사이드 47층 대변신 2028년 호텔·오피스텔 복합공간으로 사전협상제도 개선 인센티브 첫 적용 캔틸레버·블록형태 등 디자인 혁신에 서울 한강변 다채로운 스카이라인 조성 녹지 기부채납...강남 최장 녹지축 완성
Read more »
‘2036년 올림픽 서울 유치’ 찬성 71%…서울시 “100% 흑자대회 가능”이달 초 전국 대상 설문조사서 응답자 71% 서울 유치에 찬성 서울시 올림픽 추진팀 신설 유치비용 책정할 용역 맡겨 파리 다녀온 오세훈 서울시장 “유치하면 흑자올림픽 가능”
Read more »
“집 있으면 다 투기세력이냐”…고강도 대출규제에 돈줄 막혀 발동동우리銀1주택자 주담대 중단 9일부터 대출 조이기 초강수 최장 만기 40년→30년 단축 무주택자만 전세대출 가능 실수요자 시중銀돈줄 막히자 전세난 등 주거불안 심화우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