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채’ 기조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내부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3.3㎡당 가격은 1년 사이 269만원 올라 도봉구의 아파트 매매가 격차가...
‘똘똘한 한채’ 기조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내부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3.3㎡당 가격은 1년 사이 269만원 올라 도봉구의 아파트 매매가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R114가 18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4106만원으로 1년 전보다 96만원 올랐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의 3.3㎡당 매매가가 7774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강남구가 7375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서울에서 3.3㎡당 매매가가 가장 낮은 지역은 도봉구로, 2179만원이었다. 서초구의 3.57배 수준이다.서울 외곽 지역에 위치한 강북구, 금천구, 중랑구, 노원구, 구로구, 관악구 등도 매매가가 낮은 편에 속했다.
서울 내에서도 선호지역과 비선호지역의 격차는 1년간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3.3㎡당 매매가는 1년 전에 비해 269만원 오르며 자치구 중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최근 몇년간 서초구에 공급된 한강변 재건축 단지에 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도봉구는 같은 기간 3.3㎡당 매매가가 2197만원에서 2179만원으로 18만원 하락했다. 이에 따라 두 지역 간 아파트값 격차는 3.42배에서 3.57배로 커졌다. 도봉구뿐 아니라 강북구, 노원구 등 외곽지역도 1년 전에 비해 3.3㎡당 매매가가 하락했다.
단지별로 보면 이같은 격차가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8월 준공한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84㎡는 지난 7월 55억원에 팔리면서 우리나라 국민평형 아파트 기준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반면 도봉구의 주요 재건축 단지인 ‘동아 청솔’ 84㎡는 지난달 9억8500만원에 거래되며 전고점의 82%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한강을 낀 중심 지역, 신축 단지 등으로의 수요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지역 간 아파트값 격차도 커지고 있다”며 “최근 아파트값 회복을 이끄는 것은 강남권을 비롯한 중심 지역과 신축 단지로, 상승 효과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딴세상 이야기 자꾸 듣다보니”...반포 국평 60억 찍고 신축은 신고가 행진신축 신고가 행진에 집값 상승폭 다시 커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Read more »
“한달 만에 1억 뛰었다”…서울 노도강 아파트값 제친 경기 ‘이 지역’7월 거래된 아파트 평균 가격 노원 6억3303만원, 광명 7억3315만원 “강남 접근성 좋은 지역 선호”
Read more »
서울 서초구 아파트, 3건당 1건 ‘신고가’ 거래서초 이어 종로·용산·강남 순 높아 서울 7월 매매 10건중 1건 최고가
Read more »
은퇴한 5060 '돈없어도 서울 아파트는 안팔아요'5060세대 서울 아파트 매도2022년 50%서 올 44%로 뚝은퇴해도 서울서 경제활동집값 올라 '똘똘한 한채' 유지본격 은퇴 70대부터 집 팔아신도시 신축 아파트로 이동서울 매물부족 심화할듯
Read more »
집값 상승·제도 완화…2030세대 청약 뛰어들자 소형 아파트 인기집값이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시장 참여자의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정부의 특별공급 기회 확대 등 청약제도 개편과 서울발 집값 상승 훈풍이 맞물려 2030세대가 ‘내 집 마련’에 적극 나서는 분위기다. 11일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별 청약 신청자 정보’를 살펴보면, 청약제도 개편이 본격 시행된 지난 4~7월 전국 아파트 청약자는 총 100만여 명이다.
Read more »
“220억·145억·93억, 그런데 강남 아니네”…하반기 최고가 아파트 1~3위 어디?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2021년의 불장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들어 매매가격 최상위를 기록한 아파트 5곳 중 3곳이 용산구, 성동구 등 비(非)강남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파트실거래가(아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이후 거래된 가장 비싼 아파트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73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