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이종구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 기반기술연구소 연구팀이 배터리 화재를 초기에 막는 ‘온도 반응성 안전성 강화 기능층’(열 폭주 억제 소재·사진)을 개발했다고 1...
LG화학 은 이종구 최고기술책임자 산하 기반기술연구소 연구팀이 배터리 화재를 초기에 막는 ‘온도 반응성 안전성 강화 기능층’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열 폭주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열 폭주는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이 의도치 않게 직접 접촉하고, 이에 따른 발열로 배터리 온도가 수초 만에 1000도 가까이 오르며 화재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열 폭주 억제 소재는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복합물질로, 온도가 오르는 초기 단계에서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역할을 할 수 있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열 폭주 억제 소재를 머리카락 100분의 1 수준인 1㎛ 두께의 얇은 층 형태로 만들었다. 배터리 양극층과 집전체 사이에 넣기 위해서다.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해 온도가 90~130도 수준으로 오르면 결합 구조가 바뀌며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게 된다.모바일용 리튬·코발트·산화물 배터리에 못으로 구멍을 뚫는 관통 실험에서 열 폭주 억제 소재를 적용한 배터리는 단 1건의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전기차용 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 약 10㎏의 무게추를 떨어뜨리는 충격 실험에서는 일반 배터리의 경우 모두 화재가 발생했다. 반면 열 폭주 억제 소재를 적용한 배터리는 30%가량 불꽃이 발생했지만 수초 내에 꺼졌고, 7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LG화학은 모바일용 배터리에 대한 열 폭주 억제 소재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마치고, 내년까지 대용량 전기차용 배터리에 대해서도 안전성 테스트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상위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호에 온라인 게재됐다. 이민아 포항공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재 해석을 진행했고, 안전성 검증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함께했다고 LG화학은 전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지금이 절호의 타이밍”…호주 벌판·남미 호수서 ‘미래 금맥’ 캔다는 이 회사김준형 2차전지소재 총괄 리튬 광산·염호 투자할 적기 배터리 소재, 사업조정과 무관 칠레 염호 개발 입찰도 참여
Read more »
정인교 통상본부장 대선앞둔 美 방문...“韓기업 투자·수출 지원해달라”“美서 어떤 정부 들어서도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정책 근본적 변화 어려울듯”
Read more »
캐즘에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22.4%↑…K-배터리 점유율은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Read more »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행·정보공개 의무화...배터리 관리 시스템 고도화■ 진행 : 정진형 앵커, 이은솔 앵커■ 출연 : 조수현 정치부 기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
Read more »
K-배터리, '중국 텃밭' LFP 맹추격…'이미 늦었다' 우려도(종합)(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김아람 기자=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의 돌파구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튬인산철...
Read more »
“책임 질 수 있습니까”…이 보험 안들면, 전기차 보조금 안준다는데정부, 전기차 화재 안전 대책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 제조물 책임보험 미가입땐 내년부터 구매 보조금 제외 완속충전기 33만대 순차교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