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14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에 대해 규탄하는 목소리를 냈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선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흔들림 ...
주요 7개국 정상들이 14일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에 대해 규탄하는 목소리를 냈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선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흔들림 없는 지원할 것을 공언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G7 정상들은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린 정상회의 폐막을 하루 앞두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조달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러시아의 이러한 미사일 사용 등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 증가를 가능한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핵 또는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G7 정상들은 북한이 주민 복지보다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을 우선시하는 데 우려하면서 거듭된 대화 제의에 응하라고도 권고했다. 이어 북한이 인권을 존중하고 국제 인권단체의 접근을 허용해야 하며 납치 문제를 즉시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동성명에서 가장 먼저 거론된 국제사회 최대 현안인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해서는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한 투쟁을 위해 시간이 얼마 걸리든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연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동결된 러시아 국유 자산의 특별 수입을 활용해 약 500억달러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G7 정상들은 러시아가 불법적인 침략 전쟁을 끝내고 우크라이나에 끼친 4860억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며 러시아가 이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모든 합법적인 방법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상들은 아울러 러시아의 침략에 대해 물질적 지원을 하고 제재 회피를 돕는 자들에 대해 강력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강력히 규탄”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가를 한목소리로 강력히 규탄했다.러시아의 핵과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에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중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G7 정상들은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해서도 흔들림이 없는 지원을 약속했다.아울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로운 공존을 골자로 하는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를 재
Read more »
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14일 저녁(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가를 한...
Read more »
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공동성명서 "언제까지나 우크라 지원…러, 675조원 전쟁 피해 배상해야"
Read more »
G7 정상회의 13일 伊서 개막…러 동결 자산으로 우크라 지원하나(종합)(로마·브뤼셀=연합뉴스) 신창용 정빛나 특파원=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오는 13∼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동남부 풀리아의 보르고 에...
Read more »
G7 정상회의 13일 伊서 개막…러 동결 자산으로 우크라 지원하나(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오는 13∼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동남부 풀리아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
Read more »
G7, 러 동결자산 활용 우크라 69조원 지원 합의(종합)(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동결 자산으로 우크라이나에 500억달러(약 68조5천억...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