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리콘밸리 VC '스톰벤처스' 남태희 대표7개 블라인드펀드 조성핵심 투자자는 美연기금AI가 몰고온 산업 혁명韓스타트업 성장성 높아팀블라인드·컴투스 등혁신기업 투자 성과올려
혁신기업 투자 성과올려 "인터넷 개발로 전자상거래 산업이 탄생했고, 아이폰 등장으로 모바일 게임 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 스마트폰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한국에 '카카오'도 없었다. 인터넷, 아이폰은 파도를 타는 사람이 파도를 타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 파도였다. 다른 산업 지도를 획기적으로 바꿀 다음 파도가 인공지능이다. AI가 이미 바꿔놓고 있는 대표 산업이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로, 한국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을 눈여겨보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스톰벤처스 창업자인 남태희 대표는"AI는 여러 SW가 활용되고, AI를 이용하려면 수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SW와 클라우드 수요는 점점 늘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한"AI와 관련된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한국 기업이 많아지면서 이제는 한국 기업, 특히 SaaS 등 기술 스타트업에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기술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 투자한 대표 기업이 직장인 익명 애플리케이션 '블라인드' 개발·운영 회사 팀블라인드다. SaaS는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같은 기기에 설치하지 않고, 서비스 업체들에 돈을 지불한 후 네트워크 혹은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남 대표가 2000년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스톰벤처스는 고객이 대중이 아닌 기업, 즉 기업 간 거래를 하는 SW 기업 투자·육성에 특화된 VC다. 운용자산은 약 1조6000억원이며, 7개의 블라인드 펀드를 조성해 운용해왔다. 7호 블라인드 펀드 규모는 약 3000억원이다. 블라인드 펀드 조성 자금을 대준 핵심 투자자는 미국 연기금으로, 투자자 중 한국 기업들도 있다.지난해부터 실리콘밸리의 벤처투자 시장이 많이 위축돼 있지만 남 대표는 올해 하반기께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유입되는 자금 상황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남 대표는"올해 하반기 미국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고, 인하되면 실리콘밸리에 다시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남 대표는 한국에서 태어나 5세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미국에서 성장했다. 하버드대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한 후 시카고대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5세 때 미국 변호사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으며, 여러 스타트업의 자문 등을 맡았다.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고 싶은 마음이 강해지면서 2000년 스톰벤처스를 창업하고 스타트업 투자자로 변신했다. 기업의 마케팅을 도와주는 마케팅 서비스 회사 '마켓오', 와이파이 장비 회사 '에어스페이스' 등에 투자해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한국 기업에는 게임 개발 회사 '컴투스'가 기업공개를 하기 전이었던 2005년 투자해 큰돈을 벌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일자리 327만개 사라진다” 충격 보고서…전문직 절반 ‘이것’이 대체한다는데산업연구원 AI시대 일자리 보고서 196만개 일자리는 전문직 금융업은 전문직소멸비율 99%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위협
Read more »
홍준표 “박정희 동상 세울 것”…민주당 “비웃음거리 될 것”대구시가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민단체와 지역 정치 야권은 “비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4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대구시는...
Read more »
영 김 “한국, 대만 유사시 미국과 공동 대응할 것…한국 최우선 우려는 북핵 위협”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인도·태평양 소위 위원장인 영 김 의원(공화당)은 대만 유사시 한국도 미국과 함께 대응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한국에게는 북한 위협 방어가 최우선 순...
Read more »
국민 93% “정년제도 아예 없애자”…68%는 “연금 수급연령도 올리자”저고위, 연령제 개편 공론화 국민 83% “초고령사회 내 삶에 영향” 경제활동 노인 362만명 역대 최대 고령층 재고용·정년연장안 거론 85%는 “미래 세대갈등 커질 것” 기업 부담·젊은층 반발 최대 변수
Read more »
“남성 육아휴직 쓰려는데 부장님 눈치가”…한국기업 육아지원 ‘D학점’상위 20개 기업 인구대응 평가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기업 없고 임산부 차별금지제도 절반안돼
Read more »
'이스라엘 더는 못 참아'... 미국, 즉각 휴전 결의안 제출미-이스라엘 갈등 심화... 블링컨 "강력한 메시지 될 것"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