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당학회, 위기 속 한국 정치, 극단적 사고에 함몰된 정치 엘리트, 정당 정치 개혁 필요성 강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을 담당하는 미증유의 상황에서 정치 변혁의 해법을 찾기 위해 한국정당학회와 신년 좌담회를 열었다. 좌담회에는 21대 정당학회장인 박원호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22대 정당학회장인 서정건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박선경 고려대 글로벌한국융합학부 교수가 참여했다.
박원호 교수는"상상하기 힘들었던 상황이지만 정치적 양극화에 기반한 정당 간 대립의 에너지가 시스템에 의해 해결되지 못하고 폭발한 것"이라며"비상계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박 교수는"대통령의 계엄선포권이 헌법에 명시돼 있다고 해서 이를 아무 때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이것은 우리 공동체의 암묵적 약속"이라며"그러나 공동체가 공유하는 컨센서스에서 벗어나 규정에 있나 없나를 따지게 되는 상황이 이어지다가 결국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서정건 교수는 대통령제 본연의 문제점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대선 후보 시절엔 정당을 장악하다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엔 인사권과 사법권 등 국가권력 전체를 장악하게 된다"며"이런 상황이 정치 양극화를 만나다 보니 대통령제의 부정적 측면이 완전히 증폭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박원호 교수는"5년만 하다 보니 공무원 사회가 100% 호응하지 않고 행정부를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니 대통령실이 비대해지는 것"이라며"정부도 정당보다 대선 후보 시절의 선거캠프에 의해 운영된다. 책임정당제 정부라고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윤석열 대통령이 '선수는 전광판을 보지 않는다'고 했는데, 단임제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며"이런 점이 쌓여서 폭발한 것이 문제이지 대통령제 자체에 대한 포기를 논의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POLITICS SOUTH KOREA ELECTIONS CONSTITUTIONAL REFORM POLITICAL CRISIS ELITE PARTIES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최정혁의 마켓 나우] ‘60대40 포트폴리오’가 마주한 위기와 기회노벨경제학상(1990) 수상자 해리 마코위츠가 1952년 제시한 이 이론에 따르면 투자자는 자산별 기대수익률과 수익률의 변동성(리스크) 그리고 자산간 상관계수를 설정한 후, 이 자산들로 조합 가능한 모든 포트폴리오 가운데 자신의 투자목적과 위험성향에 가장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선택한다. 대표적인 ‘60대40 포트폴리오’는, S&P500 지수와 미국 10년 국채에 대한 분산투자다. 현재 4.2%인 미국 10년 국채 금리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60대40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기대수익률도 3.5%에 불과해 지난 10년 수익률 7%에 비해 반 토막이 나는 결과를 맞게 된다.
Read more »
2030세대, 한국 정치 지형 바꿀 것최창남 목사가 2030세대의 새로운 집회문화와 사회의식 변화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앞으로 한국의 정치 지형을 바꿀 것이라 전망했다.
Read more »
“2주 만에 두 번째 탄핵인 셈”···외신, ‘한덕수 탄핵안 발의’ 주목외신은 26일(현지시간)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고 보도하며 “한국의 정치 위기가 심화하...
Read more »
중동, 한국을 롤모델로 삼아 개혁과 안정 추구폭력과 정치적 혼란을 겪은 중동 국가들이 한국의 경제적 성공과 평화적인 정치 체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롤모델로 삼아 개혁과 안정을 추구하고 있다.
Read more »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후 한국의 정치 혼란에 대해 언급한강 작가는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 후, 한국의 정치 혼란에 대해 큰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그녀는 '소년이 온다'와 '채식주의자'에 대해 이야기하며, 1980년 광주 상황과 현대의 정치 상황을 비교했습니다.
Read more »
한국인들 교육수준 높고 창의적 탄핵 국면서도 국민저력 보여줘韓, 창업자금 확보에 걸림돌기업 투자 생태계 확 바꾸고'역동적인 기업가 정신' 위해과감한 재도전의 기회 줘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