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가 한 시즌 1000만 관중 시대를 열며 새 역사를 썼다. 지난 14일까지 올 시즌 프로야구 누적관중은 994만3674명으로 1000만 관중에 5만6362명만을 남겨둔 상황이었다. 1000만 관중 시대를 열어젖힌 올 시즌은 개막 초기부터 뜨거웠다. - 프로야구,한가위,시즌 프로야구,관중도 역대,정규시즌 240경기
한가위 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15일 KBO리그 경기가 열린 전국 4개 구장에는 6만 명 이상의 야구 팬이 입장해 정규시즌 막바지 순위 경쟁을 현장에서 지켜봤다.
지난 14일까지 올 시즌 프로야구 누적관중은 994만3674명으로 1000만 관중에 5만6362명만을 남겨둔 상황이었다. 그런데 15일 광주 KIA챔피언스필드에 2만500명 만원 관중이 들어찬 것을 비롯해 인천 SSG랜더스필드와 부산 사직구장도 매진 사례를 기록해 창원 NC파크 관중 집계 결과와 상관 없이 누적 관중 1000만 명 돌파를 확정지었다.프로야구가 첫 출범한 지난 1982년 당시에는 정규시즌 240경기에 총 143만8768명이 입장했다. 이듬해인 1983년에 200만 관중을 넘어섰고, 1990년에 300만 명, 1993년에 400만 명, 1995년에 500만 명을 각각 돌파했다.
위기도 있었다. 지난 1998년에 관중이 263만9119명으로 급감하고, 이와 같은 관중 감소 추세가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지만,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한국 야구가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다시금 반등 그래프가 만들어졌다. 당해 연도에 500만 명을 회복한 뒤 지난 2011년 600만 명, 2012년 700만 명을 돌파하며 상승 곡선을 되찾았다.1000만 관중 시대를 열어젖힌 올 시즌은 개막 초기부터 뜨거웠다. 개막전 5경기에서 전구장 매진을 신고하며 10만3841명이 입장해 주목을 받았다. 6월23일에는 더블헤더를 포함한 8경기에서 14만2660명이 입장해 KBO리그 역대 일일 최다 관중 기록도 새로 썼다. 올 시즌 내내 선두권과 가을야구 진출권에서 역대급 경쟁 구도가 만들어지며 야구팬들은 불볕더위에도 불구하고 관중석을 찾았다.
지난 8월18일에 847만5664명이 입장하며 KBO리그 역대 최다 관중 신기록이 세워졌고, 8월28일 900만 명 고지를 넘어 추석 연휴인 15일에 마침내 1000만 명을 달성했다.300만 명 5월16일 217경기800만 명 8월13일 549경기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프로야구, 사상 첫 관중 900만 돌파…1000만 시대 눈앞올시즌 연일 관중 신기록을 써온 프로야구가 출범 이후 최초로 관중 900만명을 넘어 1000만명을 넘보게 됐다. 주요 인기 구단들의 경기를 찾는 발길이 대폭 늘어난 영향이 컸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8일 5경기에 총 6만9559명의 관중이 입장해 누적 관중 수가
Read more »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첫 ‘천만 관중’ 시대 열었다프로야구가 천만 관중 시대를 열었다. 한국 프로 스포츠 사상 처음이다. 2024 KBO리그는 15일 4개 구장에 총 7만7084명이 입장하면서 시즌 관중 1000만명을 돌파(1002만758명)했다. 시즌 671경기 만이다. 평균 관중은 1만4934명. 종전 리그 최다
Read more »
씨름·‘랭킹 1위’ 시비옹테크의 코리아오픈·1000만 관중 앞둔 야구·K리그 선두 싸움까지 ‘뜨거운 추석’이번 추석에도 스포츠는 뜨겁다. 프로야구 KIA의 우승 확정이 기대되는 가운데 프로축구도 선두권 빅매치가 예정돼 있다. 명절 스포츠 씨름에서는 여자씨름 간판 이다현의 추석장사...
Read more »
한국 이러다간 진짜 망할 판…곧 한 집에 2명도 안 산다는데가구수 2042년부터 감소 전환 65세이상 가구 30년뒤 1000만 有자녀 가정보다 딩크 많아져
Read more »
30년 뒤 가구 절반 ‘고령 가구’···1인 가구는 1000만 육박30년 뒤 65세 이상 ‘고령 가구’가 전체 가구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인 가구는 지속 증가해 30년 뒤 1000만 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결혼...
Read more »
[스타트경제] 고물가 시대 맞춰 '김영란법' 식사비 5만 원으로 상향■ 진행 : 이정섭 앵커, 조예진 앵커■ 출연 : 허준영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