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마약 유입 및 불법 이민 문제 대응을 위해 중국에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이 직면할 위협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의 야심찬 생각이다. 아니나 다를까, 취임을 50일이나 앞둔 시점에서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산 모든 상품에 25% 관세를, 중국산의 경우 기존 관세에 10% 추가를 예고했다. ‘이들 나라로부터 불법 이민자들과 마약의 유입이 멈출 때까지’라는 단서도 달았다. ‘세상에 가장 아름다운 것이 관세’라고 했던 그가 램프의 요정 ‘지니’를 다시 불러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은 11월 25일 마약 유입 및 불법 이민 문제 대응을 이유로 내년 1월 20일 취임 당일에 중국에 추가 관세에 더해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트럼프는 협상의 달인이다. 상대의 첫인상이 좋으면 그냥 치켜세우고 나쁘면 무자비하게 후려치는 ‘사자형 리더’라고 한다. 사자를 만났을 때는 먹이부터 먼저 던지는 것이 상책이다. 배고픈 사자에게 과학적 분석이라 우기며 자기주장만 하다가는 설명 도중에 산 채로 잡혀먹히기 십상이다. 배부른 사자를 상대로 우리가 원하는 것을 서서히 얻어내는, 고도의 시간차 윈-윈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둘째, 미국의 중국산 배제에 따른 반사이익을 극대화하려면 미국 제조업과 공급망 복원에 우리 기업들이 참여할 새로운 경로들을 찾아내야 한다. 조선업·반도체·자동차·배터리가 그 대표적인 경우다. 아울러 내년 중반 이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및 이자율 재상승과 강달러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830만명에 달하는 미국 내 불법 이민자 추방이나 고율의 관세 부과 및 감세 등은 하나같이 물가와 이자율의 재상승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미국 빅테크와 금융산업 규제 완화 및 안전 자산 선호로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몰리면서 강달러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중국 관세 한국 기업 대응 전략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트럼프, 취임시 중국에 관세 10% 추가 부과 예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당일 중국에 10%의 관세 추가,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각 25%의 관세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마약 유입 및 불법 이민 문제를 대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Read more »
트럼프 추가 관세 발언에···멕시코 페소·캐나다 달러 급락세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첫날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자, 미국 달러화가 상승하고 아시아 증시는 ...
Read more »
도널드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 미국 우호국과 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 예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 첫날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고율 관세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전통적인 우호국과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의미하며,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ad more »
머스크의 테슬라에도 '트럼프 관세' 불똥 튀나(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의 3대 무역 상대국인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Read more »
트럼프, 한국 기업들에게 시련과 기회를 제공하는 관세 정책 공개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을 막기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산 상품에 25% 관세, 중국산 상품에 기존 관세에 10%를 추가로 부과하는 정책을 공개했다. 이는 한국 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
'트럼프, 전기차·반도체 보조금 없앨 수도…韓도 관세 못 피해'(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면 대미 투자 기업에 대한 보조금 폐지와 관세 부과 등으로 한국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