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 자본시장 대토론회금융위원장·금융사CEO 참석韓저평가 원인·개선방안 나눠정책 효과 높이기 위한 제언도가상자산 투자자 보호책 논의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책 논의 퇴직연금 투자, 코스피 3000 시대 등 한국 자본시장에 굵직한 화두를 던져왔던 매경 자본시장 대토론회가 올해는 밸류업 정책의 효과와 향후 과제에 대한 토론을 연다. 아울러 오후 토론 세션을 추가해 자본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토큰증권 발행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각계 전문가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도 마련했다.다음달 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의 개회사와 정점식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축사로 시작되는 2024 자본시장 대토론회는 'K증시 업그레이드, 밸류업 코리아'를 주제로 올 초부터 외국인 투자자의 '바이 코리아'를 이끌어온 기업 밸류업 정책의 성과에 대한 열띤 토론이 예정돼 있다.
금융당국의 두 차례 기업 밸류업 가이드라인 발표 후에도 여전히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당국과 상장사, 운용업계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다. 1부의 세션1 토론에서는 이준서 한국증권학회장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과 개선점을 발표하며 밸류업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기업, 투자자, 제도 및 인프라스트럭처 관점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와 함께 기업의 본질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세션2 토론에서는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이 '한국형 거버넌스에 대한 진단'을 주제로 상장사들의 구체적인 이사회 분석과 기업가치 제고방안에 대한 제언을 할 예정이다.올해 새롭게 마련된 2부 행사는 '디지털 자산, 투자자 보호와 세계화 전략'이라는 주제 아래 가상자산 세션,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세션, 토큰증권 세션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가상자산 세션에선 조강훈 금융감독원 가상자산감독국 팀장, 이정두 금융연구원 금융법연구센터장, 김재진 닥사 상근부회장, 최희경 빗썸 준법감시인 부사장, 이정민 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연구위원이 7월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디지털거래소의 대응 방안에 대한 토론을 벌인다. 토큰증권 세션에서는 이경미 예탁결제원 혁신금융실장, 김성환 코스콤 디지털사업본부 상무, 이한진 김앤장 변호사, 류지해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이사,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강형구 한양대 교수가 토론에 참여한다.오전 행사는 별도 접수 없이 현장에서 바로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으며 오후 행사는 사전 접수가 가능하다. 행사 참석 문의는 전화와 이메일로 할 수 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금감원장 “가업승계 기업 세제혜택·좀비기업 퇴출로 한국증시 레벨업”자본주의 심장 뉴욕서 K-밸류업 세일즈 민관합동 뉴욕 IR ‘INVEST K-FINANCE’ 개최 밸류업 정책·금융사 성장전략 해외 투자자에 설명 해외 투자자 300여명 K-금융에 뜨거운 관심
Read more »
미래·한투, 美시장 개척 상반된 전략 '주목'미래는 자회사 통해 ETF 사업한투는 현지증권사와 JV 설립미국 금융투자 업계와 협력해K-밸류업 지원사격 나서
Read more »
中증시 기사회생하자 중학개미는 '대탈출'밸류업 효과로 깜짝 반등 불구두달새 홍콩서 2천억 빠져나가美中갈등·내수부진 우려 여전늦기 전 차익실현 매도 이어져
Read more »
“올랐을 때 빨리 발 빼야지”…‘홍콩 대탈출’ 두 달 새 2천억 빠져나갔다밸류업 효과로 깜짝 반등 불구 미중갈등·내수부진 우려 여전 늦기 전 차익실현 매도 이어져
Read more »
최상목 “전국민 25만원 입법 위헌 소지...진정 민생위한 것인지 중요”“밸류업 기업의 가업승계 부담 완화 검토” “가계부채, PF 지금까지 안정적으로 관리”
Read more »
외인, 은행·자동차 '사자' 배당귀족주에 쏠리는 눈정부 '밸류업' 정책 구체화로자사주매입 등 주주환원 기대현대차·하나금융지주 등 주목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