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트럼프 리스크' 우려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보유주식 비...
코스피 외국인 '셀코리아' 이민영 기자='트럼프 리스크' 우려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보유주식 비중이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이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연초 32.7% 수준이던 외국인 시총 비중은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 7월 36%대까지 늘었으나 점차 감소해 8월 34%대, 9월 33%대, 10월 말 32%대로 내려앉은 뒤 지속해서 줄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자국 우선주의 기조에 따라 수출 중심의 한국 경기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 데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인 1,400원을 돌파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한국 주식시장이 트럼프 리스크를 반영하며 크게 조정받은 상황으로, 레거시 반도체에 대한 수요 둔화 우려도 외국인 수급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이날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1.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대거 팔면서 지난 14일 외국인의 삼성전자 주식 보유율은 51.72%로 지난해 4월 25일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증권가에서는 현재 코스피는 과매도 구간으로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아울러 삼성전자가 지난 15일 장 마감 후 발표한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에 주가가 추가 반등 동력을 얻으면 코스피 상방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다만 삼성전자의 순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산재한 상황에서 외국인의 국내 증시 복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12개월 선행 삼성전자 순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상황에서 하향세가 멈추고 바닥을 다진 뒤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나야 외국인이 다시 코스피 시장에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환 연구원은"단기간에 주식시장의 낙폭이 컸고, 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트레이드가 주춤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기술적 반등이 나올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면서도"다만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실제로 줄어들 수 있는 시기는 내년 1월 20일 취임식 이후로, 취임식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집나간 외국인 복귀 언제쯤…코스피 보유주식 비중 '연중 최저'(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트럼프 리스크' 우려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보유주식 비...
Read more »
코스피, 저가 매수세에 2,600대 복귀…외국인 나흘만에 '사자'(종합)(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코스피가 21일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나흘 만에 상승 마감, 2,610선에 복귀했다.
Read more »
국민 20명 중 1명 외국인 대한민국은 '다문화 국가'장기거주 외국인 246만명총인구대비 비중 5% 육박경기 안산 10만명으로 최다
Read more »
삼성전자 추락…코스피 비중 반년 만에 22%→16%주가가 3개월여 만에 30% 넘게 떨어지면서 삼성전자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반년 만에 23%에서 16%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코스피 종목에서 시가총액 기준 삼성전자의 비중은 지난 1년 중 가장 낮은 16.42%를 기록했
Read more »
[마켓인사이트] 2,600에 걸린 코스피…실적 '빨간불'에 美대선도 불안(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지난주 국내 증시는 끝 모를 외국인 매도세에 반도체주가 부침을 겪으면서 코스피 2,600선을 또다시 하회했다.
Read more »
“내년 삼천피 간다면서 최저 2300이라니”…증권가 코스피 예상밴드 논란내년 증시 전망…‘상저하고’ 흐름 예상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