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회사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다. 매년 정직원은 100%, 사내하청은 50% 정도로 성과금을 받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원청에서 올해부터 저희에게는 성과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한다.”(지난 8월 직장갑질119 제보 중) 노동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22일 여론조사
“한 회사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다. 매년 정직원은 100%, 사내하청은 50% 정도로 성과금을 받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원청에서 올해부터 저희에게는 성과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한다.”
노동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22일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9일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하청 노동자에 대한 처우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 85.4%는 ‘정당하지 않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하다’는 응답은 14.6%에 그쳤다. 또 ‘원청과 하청회사 간 임금·근로조건 격차 인식’ 조사에선 83.9%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경험하거나 목격한 하청 노동자의 불이익으로는 ‘임금, 휴가, 명절 선물, 복지시설 이용 등 차별’이 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채용, 휴가, 징계, 해고 등 인사개입’, ‘하청노동자 업무수행 직접 지휘 감독, 위험 업무 전가’ 등의 순이었다.하청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누가 결정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선, 47.7%가 ‘원청과 하청회사 모두에 결정권이 있다’고, 38.6%는 ‘원청회사에 있다’고 답했다. 반면 ‘하청회사에만 있다’는 응답은 13.7%에 그쳤다. 직장인 10명 중 8명이 ‘원청’이 하청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결정짓는데 영향을 끼친다고 본 것이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근로조건의 격차의 책임에 대해선 절반에 가까운 43.8%가 ‘정부’를 꼽았다. 재벌·대기업, 국회·정치권, 노동조합, 정규직 노동자 등이 뒤를 이었다.직장갑질119 김현근 노무사는 “우리 사회에서 간접고용 노동자는 일종의 신분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라며 “원하청 격차로 인한 문제는 열악한 근로조건과 일상적 차별을 넘어 아리셀, 한화오션 참사와 같이 이제는 하청 노동자의 생명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행 파견법 위반을 제대로 단속할 뿐 아니라 원청에게 외부 노동력을 이용하는 과정, 결과 등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단독]아리셀 모회사 에스코넥, 하청노동자 직접고용…“불법파견 은폐”23명의 노동자가 숨진 화재사고가 난 아리셀의 모회사 에스코넥이 최근 하청 노동자 88명을 직접고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리셀 참사 이후 아리셀의 불법파견 정황이 드러나자 유...
Read more »
“100만원 국민연금, 30만원 덜 받는다”…손해연금 신청자 사상 최대로 늘어[언제까지 직장인]연금 개시 연령 작년 만62→63세로 “소득 공백 직격탄 맞은 퇴직자 멘붕” 국민연금 연계한 피부양자 탈락 불만↑
Read more »
[단독] “야간작업 사고나면 누가 책임지죠” 대화 7분 뒤 하청 노동자 사망지난 9일 밤 경남 거제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 조선소 32m 높이에서 작업하던 하청노동자 ㄱ(41)씨가 떨어져 숨진 가운데, ㄱ씨는 원청 한화오션의 요청으로 늦은 밤까지 작업했던 것으로 11일 파악됐다. 사고가 나기 불과 8분 전 하청업체 쪽은 “야간작업 하다 사
Read more »
'폭동' '폭동'... 김문수가 4.3 폄하 총대 멘 진짜 이유[김종성의 히,스토리] 제주 4.3에 대한 정당한 평가 이뤄지면, 존립기반 위태로워지는 뉴라이트
Read more »
추석 연휴에도 근무중 이상무... ‘제복입은 영웅들’ 찾아 격려한 尹관악경찰서·강서소방서 방문 “명절에 국민 위해 애써 주셔서 고마워 정당한 보상 통해 여러분들 뒷바라지할 것”
Read more »
연이은 쿠팡 노동자 사망에 택배노조 “‘쿠팡 청문회’로 진상규명해야”‘심정지 사망’ 쿠팡 캠프서 일주일 만에 또 노동자 ‘심정지’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