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선언한 계엄 해제와 증오범죄 문제를 다루며, 증오범죄가 단순히 증오 때문만은 아닌 진정한 원인을 탐구합니다.
3.유머와 불완전함 : 우리 모두 원래 좀 바보다계엄 선포 157분만에 새벽 국회에서 비상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었고, 오전 4시 30분 현재 윤석열 대통령은 결국 선언 약 6시간만에 국무회의를 통해 계엄을 해제할 것을 선언했습니다는 터무니없게도 거의 사랑스러울 만큼 어려 보였다. 그의 침착한 태도를 통해 아무것도 모르는 젊은이의 어리석음을 상상할 수 있었다. 난 내가 올바른 일을 했다는 걸 알아, 다른 말을 하는 사람들한테 관심 없어, 라고 그의 표정은 말하고 있었다.” -살만 루슈디, 中곧이어 한 젊은 남자가 칼을 쥔 채 재빠르게 단상으로 뛰어올랐습니다. 그리고 단상 위에 있던 이를 무참하게 수십번 찔렀습니다. 그는 얼굴, 가슴 등 온몸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졌고,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오늘 레터에서는 맥락을 충분히 소개하진 못했지만, 결국 이 책의 결말부에서 테리 이글턴은 지나치게 '정치적인 도구화된 유머'에 대해선 경계의 눈초리를 보냅니다. 유머의 본질은 카니발에 가깝고, 그 자체의 힘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올바른 방향으로만 양떼몰듯 이끌 수는 없는 것이죠. 그럼에도 우리가 '그냥 웃기다'는 데 동의하는 유머들에서도 공통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 레터에서 다루어 보았습니다.-데모크리토스 등을 중심으로 서양에서 철학자들이 어떻게 웃음, 유머를 다루어왔는지를 흥미롭게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특히 이 책에 소개된 책은 굉장히 흥미로웠는데요. 물론 발란트가 그 작품을 썼던 시점 기준으로도 다소 이상적으로 그려낸 과거의 모습이긴 했겠지만, 그럼에도 오늘날 과연 저런 식으로 서로 간의 불화를 푸는 경우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책 속 인용을 읽는 내내도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우리는 이런 아슬함을 좋아하는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류의 유머는 왜 우리를 분노하게 만드는 걸까요? 예를 들면 과거 수해복구 현장에 가서"솔직히 비좀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나오게"라고 말한 한 국회의원의 농담같은 것이요. “웃음을 일으키는 것이 연설가의 일임은 당연하네. 호의를 얻고자 하는 이에게 호감이 생기게 하는 것이 실은 즐거움이네. 어떤 사람이든 대개 답변하는 사람이 내놓은 한 단어에 담긴 예리함에 감탄한다네. 물론 때때로 날카롭게 공격하는 사람의 한마디도 그렇다네. 웃음은 상대방을 무너뜨리고 저지하며 가볍게 만들고 두렵게 만들며 반박한다네. 또한 연설가를 세련되고 교육을 잘 받았고 기지가 넘치는 사람으로 드러내 준다네. 특히 엄중함과 가혹함을 부드럽게 만들며, 종종 아주 곤란한 상황을, 이는 말의 논리로는 쉽게 풀 수가 없는데, 이런 상황마저도 유머와 기지로 완화시켜 버린다네.”정치인들의 '막말'은 매번 에 뜨곤 합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인터뷰] ‘정년이’ 김윤혜 “소리 천재 연기하는 김태리, 넘사벽 느껴”‘정년이’ 매란국극단 공주님 서혜랑 役 “정은채, 진짜 왕자님…든든했다” “‘정년이’ 함께했다는 자부심 느껴”
Read more »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 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 미상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의 원인이 외부 충격 가능성으로 제기되었으나, 경찰은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관리소장 등을 입건했다.
Read more »
중년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탈습관화'행동경제학자 캐스 선스타인과 인지신경과학자 탈리 샤롯이 함께 펴낸 신간 『룩 어게인』은 '중년의 위기'의 원인을 변화에서 찾으며, 습관화된 일상을 깨는 '탈습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Read more »
중년 위기를 깨트리는 변화의 힘행동경제학자 캐스 선스타인이 인지신경과학자 탈리 샤롯과 함께 펴낸 신간 『룩 어게인』은 변화 없음이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설명하며, 인생의 풍요로움을 위해 '탈습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Read more »
[트럼프 재집권] 노동자 지지 잃은 美민주 '너무 엘리트당 됐나' 성찰(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미국 공화당 소속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큰 충격을 받은 민주당이 대선 패배 원인을 곱씹으...
Read more »
AI 시대, 의대 가도 소용없다?! 진짜 공부는?AI 시대에 맞는 교육 방법과 진짜 공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의대 진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 또한 제시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