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 마트의무휴업일 평일 변경 역시 '일·생활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출생률 저하 문제로 전 사회가 머리를 싸매고 있다. 통계청의 2월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합계 출산율은 0.65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추락했다. 지난해 1분기 0.81명, 2·3분기 각각 0.7명 등 후반으로 갈수록 더 떨어지는 모양새다.고용노동부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고용노동부는 3월 18일 저출생 문제에 대응한다며 '일·생활 균형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저출생 문제에 있어서 '일·생활 균형'이 가장 중요한 해법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렇게 정부의 저출생 해법은 물리적인 육아, 돌봄 시간 확보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식의 모색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근본적인 저출생 대책이 될 수는 없다. 육아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만으로 개인의 삶의 질이 근본적으로 개선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칫하다간 저출생 대책이 '육아 기계' 양성방안이 될 수도 있다.케임브리지 사전에 따르면, 일·생활 균형은 '가족과 함께 보낸 시간이나 여가시간 대비 일로 보낸 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다. 한마디로 워라벨이라고도 하며, 이는 삶의 질과 연동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이들은 평일이나 주말에 가족과 어떤 시간을 보내고 있을까? 서비스노동자들이 쉬는 평일의 경우 자녀들은 학교와 학원으로, 배우자는 직장으로 일을 하러 가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반대로 다른 가족들이 쉬는 주말의 경우 서비스노동자들은 일터로 나가야 한다. 결국 가족의 시간이 분절되어 나타나며,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가족과의 시간뿐만 아니라 친구와 보내는 시간 등도 마찬가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의원님들, “저출생 위기”라면서요···국회 법개정 타율 ‘3%’정치인들이 선거 때마다 저출생·모부성보호 관련 공약을 쏟아내지만, 실제 법안 개정까지 이뤄지는 경우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노동인권단체 직장갑질119가 분석한 제2...
Read more »
‘저출생 위기’ 라더니…2023년에 개정된 ‘모부성보호제도’ 법안은 ‘0건’ [플랫]정치인들이 선거 때마다 저출생·모부성보호 관련 공약을 쏟아내지만, 실제 법안 개정까지 이뤄지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노동인권단체 직장갑질119가 분석한 ...
Read more »
11개월 육휴 쓴 아빠입니다, 계속 이러면 망합니다[유권자의 DM] 저출생 극복, '준비되지 않은' 정책만으로는 불가능
Read more »
'나만 생각하면 애 낳은 것 후회' 젊은 부모들의 솔직한 토로[대담한 대화⑨] 부모들이 말하는 저출생 해법
Read more »
필리핀 가사도우미 온다지만 …'월급 200만원은 너무 비싸요'이르면 6월부터 시범사업'저출생 해소 도움 되려면내국인과 임금 차등 적용'최저임금法 등 개정 필요
Read more »
‘임대차 계약부터 퇴거까지’…서울시, ‘전세사기’ 확산에 공인중개사 책임 강화 추진부동산 시장 관리 효율화 추진계획 수립 공시지가 균형·적정성 제고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