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포럼 사의재 2024 공동기획④-민생 퇴행] '성장률 하락·양극화·정부 부채 증가' 부메랑
▲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 기자회견 생중계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이 9일 오전 열렸다. 서울 용산역 로비에 마련된 텔레비젼을 통해 기자회견이 생중계 방송되고 있다. ⓒ 이정민'개천에서 용 났다'는 말을 들어본 지 오래고, 영화 의 관객 수가 천만 명을 넘었고, OECD 회원국 최고의 노인빈곤율이 100세 시대를 무색하게 만들고, 최저 수준의 출생률로 온 나라가 들썩이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승자독식의 시장경제에서 불평등과 저성장, 삶의 만족도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강조하면서도 부자 감세와 긴축재정으로 일관했고, 낙수효과에 대한 견고한 믿음과 경제 현실을 외면한 정책으로 민생은 물론 경제의 펀더멘탈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 민생안정을 경제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지만, 정책 추진 단계에서는 부자 감세와 긴축재정을 고수함으로써 경제성장률의 하락과 양극화, 정부 부채의 증가라는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했다.
경제성장률 하락과 부자 감세의 영향으로 2023년 세수결손 규모는 무려 56.4조 원에 달했고,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각각 36.8조 원과 87.0조 원을 기록하면서 국가채무도 전년 대비 59.4조 원 증가했다. 반면 사회안전망은 취약하여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로 더욱 어려워진 민생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2024년 정부 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보건·복지·고용 분야의 비중은 전년 대비 1.8% 포인트 증가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평균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교육과 R&D 투자 비중은 하락했지만, 국방 예산은 늘어났다.
둘째, 경제성장률이 하락하고 소득의 양극화가 확대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긴축정책과 고소득자, 고액자산가, 대기업에 대한 감세 정책을 고수했다. 반면에 고금리 정책으로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과 적자 가구 비율이 증가했지만, 정부는 가계부채의 해소방안에 소극적이었다. 각자도생의 냉혹함이 민간주도성장에 감돌고 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전문] 윤 대통령, 총선 참패 첫 메시지 “올바른 국정 방향 최선 다했지만...모자랐다”긴축재정 기조 견지 “무분별한 현금 지원과 포퓰리즘은 나라 미래 망쳐...마약과 같아”
Read more »
쿠팡, 3조 투자 발표 배경 “이러다 中알리에 다 무너진다”지난 27일 쿠팡이 향후 3년간 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배경엔 중국 이커머스 부상에 따른 경영진의 위기감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에서 쿠팡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종합쇼핑몰 앱(와이즈앱·리테일·굿즈 자료, 2월 기준)이 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가운데, 공격적 투자 없이는 한국 유통업계가 잠식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컸던 것
Read more »
“이러다 다 죽어”···핵사고 부를 원전 불장난에 전세계 긴장원전의 격납 구조물, 항공기 충돌에 취약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손상시 폭발 우려도 IAEA “원전 공격은 극도로 무책임”
Read more »
[김흥규의 외교만사 外交萬思]총선 계기, 대외정책 과감히 전환하자윤석열 정부의 낮은 지지도와 국민들의 미래에 대한 안보·경제적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윤 정부나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이번 총선을 기점으로 보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대외정책을...
Read more »
'노동운동' 출신 당선인 '윤 정부의 노동개혁? 노조악마화만 했다'[22대의 미션] 박홍배 민주연합 당선인 "현장서 가장 아쉬웠던 협치, 대화 통해 결과 만들 것"
Read more »
[사설] 윤 정부의 ‘입틀막’에 15계단 수직낙하한 언론자유국경없는기자회가 지난 3일 발표한 ‘2024 세계 언론자유지수’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언론자유지수는 64.87점으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70점 아래로 떨어졌다. 세계 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