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길원 나확진 기자=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영예를 안은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의 빅터 앰브로스와 하버드 의과대학의 ...
김길원 나확진 기자=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영예를 안은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의 빅터 앰브로스와 하버드 의과대학의 게리 러브컨 교수는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한 학자들이다.
7일 의학계에 따르면 앰브로스 교수는 1993년 국제학술지 셀에서 꼬마선충의 발생 과정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연구하던 중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작은 RNA 조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게 최초의 마이크로RNA 발견이었다.다만 이때까지만 해도 'lin-4' 마이크로RNA의 이런 역할은 꼬마선충에만 존재하는 예외적인 현상으로 여겨졌다. 예컨대, 마이크로RNA의 기능 조절을 통해 모든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지 않고 특정 유전자의 발현만 억제하는 방식으로 유전병, 암, 바이러스질환 등에 이용하는 연구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노벨 생리의학상에 '유전자조절 원리' 밝혀낸 美생물학자 듀오(종합2보)(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마이크로RNA 발견에 기여한 미국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70)와 게리 러브컨(72)에...
Read more »
[속보]올해 노벨생리의학상에 앰브로스·러브컨…마이크로RNA 발견 공로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의 영예는 ‘마이크로RNA’를 발견하고 작동 원리를 규명한 과학자 두 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빅터 앰브로...
Read more »
“75세까지만 버티면 된다” 노인은 암에 덜 걸리는 이유(투오마스 타멜라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암 생물학ㆍ유전학 책임연구원) 하지만 암 발생의 절정기인 75~85세가 지나면, 그때부터는 암 발생이 줄어듭니다. (투오마스 타멜라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암 생물학ㆍ유전학 책임연구원) '젊은 사람들에게서 종양을 일으키는 세포는 발암 능력이 더 좋아요. (좡쉐첸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암 생물학ㆍ유전학 연구원) 초고령자가 되면 암 발생이 줄어든다는 현상에 회의적인 과학자들도 있어요.
Read more »
'100세 시대' 부모님 건강 … 돌봄·치료비 미리 준비해야죠효도 안성맞춤 생명보험은75세이상 年치료비 145만원간병부터 암·치매까지 보장
Read more »
갈수록 늘어날 송·변전 지원금빚더미 한전, 재무악화 부채질작년 1435억…인상땐 1700억한전·발전회사가 전액 부담'전력기금 활용' 목소리 커져
Read more »
경기도민 62% “하이러닝, 학생들의 학습격차 해소에 효과적”경기도민 1,200명 대상 ‘에듀테크 활용 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