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날 때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이야기예요. 최근에 만난 동료는 AI 때문에 초조해진다고 하더라고요. 언젠가 AI에 일거리를 빼앗길지도 모르니, 할 수 있을 때 해두자는 마음으로 스스로를 들들 볶는다는 말이었어요. 다른 일로 전환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동료도 많고요.' 15년간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해 온 김희경씨는 몇 해 전 웹툰 작가로 전향했다.
인공지능은 인간 노동자를 돕게 될까요, 아니면 대체하게 될까요. AI로 인해 새로운 직업이 생기기도 했고, AI와 인간의 경쟁이 촉발되기도 했습니다. 이미 시작된 노동시장의 '지각변동'을 심층취재했습니다."만날 때마다 생성형 인공지능 이야기예요. 최근에 만난 동료는 AI 때문에 초조해진다고 하더라고요. 언젠가 AI에 일거리를 빼앗길지도 모르니, 할 수 있을 때 해두자는 마음으로 스스로를 들들 볶는다는 말이었어요. 다른 일로 전환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동료도 많고요."
올해 저작권이 만료된 1928년 단편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에 등장한 미키마우스를 그림 생성형 AI '미드저니'에 그려보게 했다. 가운데 그림은 챗 GPT에 1928년 미키의 특징을 서술하게 한 뒤 미드저니에 월트 디즈니 스타일로 그려 달라고 입력한 결과물이고, 오른쪽 그림은 기자가 미드저니에 1928년 버전 미키마우스의 특징을 묘사한 뒤 월트 디즈니 스타일로 그려 달라고 입력한 결과물이다. 미드저니 캡처 해소되지 않은 저작권 침해 사각지대도 문제로 꼽힌다. AI는 태생적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 학습을 거쳐야 해, 이 과정에 저작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어떤 저작물이 포함됐는지, 결과물에는 얼마나 반영됐는지 등을 알기 어렵다. 당연히 저작권자에게 어떤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기준도 없다. 이 같은 문제 때문에 저작권이 확보된 작품만 학습시킨 AI 서비스가 등장하기도 하고, 해외에서는 관련해 소송전도 벌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이미지 플랫폼인 게티이미지는 지난해 이미지 생성 AI 회사 '스테빌리티 AI'가 학습에 자신들의 이미지를 사용했다며 2조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을 청구한 바 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무엇을 하든 장애인 의견이 필수인 이 나라[꿈틀비행기 17호] 덴마크 DPOD가 품은 '포용성'의 가치
Read more »
[단독] SK하이닉스·TSMC ‘AI 동맹’…삼성전자 견제 나선다HBM·파운드리 1위 두 기업 차세대 AI 반도체 공동개발 삼성전자 ‘턴키전략’에 대항
Read more »
'월 700만원 벌어봤어요'… 아들 셋 30대 주부는 어떻게 'AI 일꾼'이 됐나[AI 시대, 노동의 지각변동]
Read more »
'창의력? 열린 질문 그리고 이 2가지 기억하라' 경제학자의 비결그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1990년대부터 30년간 장기경제성장률이 5년에 1%포인트씩 하락 중이다. 그렇게 중요한 장기경제성장률이 5년에 1%포인트씩 하락하고 있다고요? 제가 이 법칙을 논문을 통해 보고한 게 벌써 2016년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장기경제성장률 5년 1% 하락의 법칙이 작동하기 직전 우리나라는 전세계가 주목할만한 8~10% 수준의 고도성장을 무려 30년간 계속해왔어요.
Read more »
'내 자리 대체할지 모를 AI, 내가 학습시켰다'... 콜센터 습격한 AI'콜센터에 취직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상담 업무 지원에 챗봇을 활성화하겠다'는 지침이 내려왔어요. 제가 고객과 상담한 음성을 인공지능이 문자로 변환하는데, 당시엔 제 이름 세 글자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수준이었어요. 전화 상담 업무와 별도로 챗봇이 음성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거나, 고객 요구를 잘못 인지한 부분을 일일이 수정하는 작업을 1년 정도
Read more »
딱 맞는 AI 골라주고, 전문지식 특훈도... 진화하는 AI 엔지니어국내 생성형 AI 스타트업인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는 지난해 오픈AI의 GPT 시리즈,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구글의 PaLM2 등 국내외 거대언어모델(LLM) 5종을 10가지 평가지표로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최근 유행하는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검사(MBTI)처럼 인공지능(AI) 모델의 명확성, 공감능력, 정중함, 일관성 등을 평가한 것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