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화 가치가 1450원대까지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환율이 1450원선을 넘어선 건 리먼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만에 처음이다. 더욱이 지난달 수입품을 포함하는 국내 공급물가와 생산자물가도 넉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 향후 소비자물가 등에도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원화 가치가 1450원대까지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환율이 1450원선을 넘어선 건 리먼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만에 처음이다. 더욱이 지난달 수입품을 포함하는 국내 공급물가 와 생산자물가 도 넉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 향후 소비자물가 등에도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국내 공급물가 지수는 10월(123.47) 보다 0.6% 오른 124.15(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지난 4월(1.0%)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 공급물가 는 생산자물가 와 수입물가를 결합해 산출한다”며 “통관 시점 기준 수입물가가 원달러 환율 과 국제 유가 상승 등으로 생산자물가 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율 상승 영향은 원화 기준 수입물가에 반영되면서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 나 소비자물가에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1월 생산자물가 지수는 10월(119.
01) 보다 0.1% 오른 119.11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지난 7월 119.56을 기록한 뒤 8월 119.38, 9월 119.16, 10월 119.01 등으로 하락하다가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으로 품목마다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최근 추세를 살피기 위해 주 지표로 전월대비 수치를 사용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 전력(7.5%) 등이 올라 2.3% 상승했다. 공산품도 석탄 및 석유제품(1.6%)을 중심으로 0.1% 올랐다. 반면 농림수산물은 농산물(-5.1%), 축산물(-2.8%) 등이 내려 3.6% 하락했다. 서비스업도 금융 및 보험서비스(-1.0%) 등이 내리면서 0.1% 낮아졌다. 세부품목 중에는 경유(4.1%), 제트유(6.0%) 에틸렌(4.8%) 등이 올랐고, 배추(-42.3%), 상추(-64.1%), 돼지고기(-4.1%), 닭고기(-5.8%) 등은 크게 떨어졌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1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6% 상승했다. 농림수산품이 3.4% 내렸지만 공산품은 0.9% 올랐다. 이 팀장은 “11월 통관 시점 기준의 수입물가는 환율 상승과 10월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생산자물가 보다 더 크게 올랐다”면서 “최근 환율 상승 여파가 수입물가에 반영되면서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국내공급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일 원달러 환율은 이틀째 금융위기 수준인 1450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전일대비 1.9원 내린 1450.0원으로 출발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책임연구원은 “현재 대외 강달러는 물가 보다는 경기에 집중, 당분간 1450원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행스러운 점은 최근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인한 환율 상승 요인이 정부의 외환스와프 체결 등으로 어느정도 해소되는 것 같다”고 전했다.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는 “환율 고공행진이 지속하면 수입 물가를 밀어올려 가계와 수출입 기업에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면서 “특히, 저가 상품 가격이 고가 상품보다 더 크게 오르는 이른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나면 서민층에 더 가혹한 한파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칩플레이션은 가격이 낮다는 의미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이 같은 현상은 고물가 시기 저렴한 상품을 주로 소비하는 취약계층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됐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은은 칩플레이션이 취약계층에 더 충격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소득 계층별로 저가, 고가 상품에 얼마나 쓰는지를 추산해 계산해봤더니, 2019년 4분기~2023년 3분기 소득 하위 20%의 실질적인 누적 물가상승률이 13%로, 소득 상위 20%(11.7%)보다 1.3%포인트 더 높았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돼지갈비 몇 점 안먹었는데 7만원”…탄핵 정국에 물가 우려 더 커져정치 불확실성에 환율↑ 수입물가 상승 압력↑ 밥상 물가 자극 우려↑
Read more »
칩플레이션, 저소득층에게 더 큰 고통한국은행은 '칩플레이션' 현상으로 서민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특히 저소득층의 물가 상승 고통이 더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Read more »
[사설] 환율 1450원 돌파, ‘윤석열 리스크’부터 빨리 제거해야[사설 상] 환율 1450원 돌파, ‘윤석열 리스크’부터 빨리 제거해야 원·달러 환율이 19일 전날보다 16.4원 올라 2009년 금융위기...
Read more »
“위태위태한 한국 금융시장, 초비상”…‘尹 리스크’에 금감원장도 이젠비상계엄 사태에 환율 방어선 위태 외환·금융위기 이후 첫 ‘위기 환율’
Read more »
환율 1450원 돌파, 금융위기 이후 최고···계엄 여파에 미국발 충격까지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와 폭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에 19일 원화 가치와 주가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휘청였다. 원·달러 환율은 금융위기...
Read more »
미 연준 '매파적 인하'에 휘청이는 금융시장···환율 15년만에 1450원 돌파, 코스피 장중 -2%급락미국 연방준비제도(連邦準備理事會, Fed)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2009년 이후 최고치인 1450원을 돌파했습니다. 연준은 금리 전망을 업데이트하며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2회로 조정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전망이 상승하면서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