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자 이에 호응해 ‘생로병사의 비밀’ 유튜브 채널 편집자는 자극적 음식·과식 관련 과거 에피소드들을 유머러스한 댓글 반응과 함께 편집한 ‘생로먹방의 비밀’ 시리즈를 올해부터 올리고 있다. 탐식에 대한 은밀한 공감과 대리만족, 그리고 건강을 해치는 탐식에 대한 죄의식(?), 이 두 가지 모순된 감정을 동시에 해결해 주기에 이 시리즈가 폭발적 인기를 얻는 것이리라. 현세주의적인 한국인 이처럼 ‘생로먹방’을 보며 탐식에 대한 대리만족과 탐식에 대한 채찍질을 통해 동시에 쾌감을 느끼는 웃픈 현상에서 한국 사회의 몇 가지 화두를 읽을 수 있다.
“어느 날 당신이 ‘ 생로병사의 비밀 ’을 유심히 보기 시작했다면 중년이 되었다는 증거”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건강과 질병, 특히 성인병을 많이 다루는 이 교양 프로그램 은 ‘부모님 애청 프로그램’으로 20년 넘게 장수를 누려왔다.
이러다 보니 10여 년 전에 방송된 ‘삼겹살 리포트’편이 ‘먹방의 끝판’으로 입소문을 모아 1300만 뷰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생로먹방’이라는 인터넷 밈까지 생겼다. 그러자 이에 호응해 ‘생로병사의 비밀’ 유튜브 채널 편집자는 자극적 음식·과식 관련 과거 에피소드들을 유머러스한 댓글 반응과 함께 편집한 ‘생로먹방의 비밀’ 시리즈를 올해부터 올리고 있다. 한 일반인 출연자의 명언 “고기에 파김치를 착 얹어서 먹으면 꿀 조합이에요”가 강렬한 비트를 타고 DJ 믹싱으로 나오기까지 한다. 그 뒤로는 원래 방송에 나온 대로 이들의 심각한 건강 상태에 대한 체크와 의료진의 준엄한 경고, 의료진의 처방에 따른 식습관 개선과 운동 등이 펼쳐지지만 말이다.
한편 최근 들어 ‘생로병사의 비밀’이 젊은 세대의 인기를 끄는 것은 이러한 ‘먹방으로서의 재발견’뿐만 아니라 ‘가속노화’가 새롭게 화두가 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가속노화는 자극적인 가공식품과 탄수화물 과다 섭취, 운동·수면 부족 등으로 생물학적 나이가 빠르게 들며 성인병을 일찍 겪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속노화’라는 명칭의 충격 효과 덕분에 젊은 층에게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래서 요즘 소셜미디어에는 건강한 ‘저속노화 식단’ 인증 사진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꾸준히 저속노화 식단을 주장해온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의학계의 아이돌’로 떠올랐다. 이런 기세를 타고 ‘생로병사의 비밀’ 프로그램도 ‘생로먹방’과 가속노화 화두를 결합해 더욱 조회수를 끌어모으고 있는 중이다.첫째, 극심한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미래를 이제 모두 본격적으로 예감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교양 프로그램 건강 상태 생로병사의 비밀 먹방 건강 가속노화 현세주의 생로먹방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나라 망신’ 시켜준 BBC 다큐가 고마운 이유 [문소영의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유튜브에 달린 영문 댓글을 통해 본 나라 망신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일부 팬들의 눈먼 지지 ‘버닝썬’ BBC 다큐의 두 번째 나라 망신 포인트는 일부 팬들의 눈먼 지지와 옹호, 그리고 진실을 밝히려는 기자들에 대한 인신공격이다. 클럽과 경찰 유착 의혹 흐지부지 세 번째 나라 망신 포인트는 버닝썬 사건을 파헤친 또 다른 주요 기자 강경윤이 '페미×'이라는 욕설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이다.
Read more »
100석 이상 차이 난 印총선 출구조사, 왜?…신뢰부족 사회 때문?(뉴델리=연합뉴스) 유창엽 특파원=인도 총선 출구조사가 또 엉터리인 것으로 드러났다.
Read more »
'보통'에 집착하는 사회... 도발적 방식으로 묻는 영화[리뷰] 영화
Read more »
'왜 종부세에 목숨 거나...대신 상위 0.1%에 부유세 걷자'[인터뷰] '진보 경제학자' 정승일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의 제안
Read more »
심야상영에 인파 몰리자 유리창까지 깨졌다…80년대 '에로방화'(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1980년대는 대중 엔터테인먼트 문화가 급격히 발전한 시기였다. 박정희 정권 후 등장한 전두환 정부가 반정부 ...
Read more »
폐교 위기의 초등학교, 영국은 이렇게 살려냅니다구성원 41명의 학교가 179년 간 유지된 이유... 어려서부터 배우는 기부와 나눔 문화가 부럽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