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퇴근길엔~1억9000만번 따릉이 타고다녔다

United States News News

오늘 퇴근길엔~1억9000만번 따릉이 타고다녔다
United States Latest News,United States Headlines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2010년 이후 14년만에 돌파 출근보다 퇴근시간 이용 많아 최근 5년간 1~4월 이용도 3.5배 늘어 날씨 추워도 ‘이동수단’ 자리매김

날씨 추워도 ‘이동수단’ 자리매김 출퇴근 ‘따릉이족’에 힘입어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건수가 14년 만에 1억9000만건을 돌파했다. 서울시민 한 명당 20번 가량 이용한 셈이다. 하루 평균 따릉이 이용건수도 도입 초기보다 298배 늘었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따릉이는 2010년 도입한 이래 14년 만에 운영대수와 대여소, 이용건수가 모두 크게 증가했다. 하루 평균 따릉이 이용건수는 2010년 413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2만건으로 298배 증가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캐나다 공공자전거 ‘빅시’에 착안해 2010년 11월 ‘빌려타고 반납하는 자전거’ 따릉이를 도입했고, 서울시는 시범 기간을 거친 후 2015년 10월부터 따릉이 서비스를 본격 운영했다.최근 5년간 이용 실적을 파악해보면 따릉이가 대중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릉이는 1~4월에도 이용건수가 2019년 334만건에서 작년 1177만건으로 3.5배 증가했다. 자전거 타기 좋은 계절이 아니라도 일상에서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출퇴근용’으로 따릉이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주중 이용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다. 지난해 주중 따릉이 이용건수는 3300만건으로, 2019년의 2.5배 규모였다. 또 주중에는 오전 8~9시 출퇴근시간보다 오후 6~7시 이용이 많아 ‘퇴근족’이 따릉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에서 7월부터 본 사업을 시작하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대중교통과 연계해 따릉이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정여원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지난 15년간 운영 성과 분석을 토대로 따릉이 시스템과 정책을 꾸준히 고도화하겠다”며 “2050년 탄소중립도시 달성을 위해 친환경 교통수단 따릉이 이용 활성화에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maekyungsns /  🏆 15. in KR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현장영상+] '한일정상회담, 中 적극 관여시켜서 3국 협력 모색하기로'[현장영상+] '한일정상회담, 中 적극 관여시켜서 3국 협력 모색하기로'[앵커]한일중 정상회의 공식 일정이 오늘(26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앞서 용산 대통령실에서는 한중과 한일 양자회담이 연이어 열렸습니다.대통령실에서 오늘 연...
Read more »

[관점의 관점+] 5년만의 한·중·일 정상회의…‘차가운 평화’의 시대를 위한 ‘관리외교’ 강화해야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5년만의 한·중·일 정상회의…‘차가운 평화’의 시대를 위한 ‘관리외교’ 강화해야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국민연금 개혁이 특검법 방패막이로 써도 되는 일인가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국민연금 개혁이 특검법 방패막이로 써도 되는 일인가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몽골 기병은 대화나 타협이 없었다…‘무조건 항복’만 추구했을 뿐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몽골 기병은 대화나 타협이 없었다…‘무조건 항복’만 추구했을 뿐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사단장 수사 대상서 빼주려고, 정권 명운을 걸 건가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사단장 수사 대상서 빼주려고, 정권 명운을 걸 건가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21대 국회 마감···이런 국회 다시는 없어야겠지만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21대 국회 마감···이런 국회 다시는 없어야겠지만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