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대부분 사유재산, 공익과 사익 조화 이룰 방법 찾아야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63.5%는 산림이다. 이중 67.8%는 개인이 소유한 사유림이다. 임야를 가진 산주는 220만명에 이른다. 국민 23.5%가 산주인 셈이다. 넓은 사유림도 특이하지만 이렇게 산주가 많은 나라도 없을 것이다. 그 숫자는 매년 5만명씩 늘고 있다.
지금 우리 사유림은 위기에 처해 있다. 국가가 맡고 있는 국유림과 공유림은 어느 정도 관리되고 있다. 예산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많은 사유림은 방치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숲 가꾸기' 예산이 있어서 산주가 신청하면 지원금이 나오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세금 부담으로 상속을 포기하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숲에는 나무만 있는 것이 아니다. 숲 안에는 물, 흙, 미생물과 수많은 동식물이 있다. 숲이 내주는 맑은 공기로 우리는 숨을 쉰다. 숲이 머금고 있다가 내려 보내는 물을 마시면서 살아간다. 숲 생태계는 우리의 삶을 밑에서부터 받치고 있다. 산림청에서 매년 평가해서 발표하는 숲의 공익 가치는 259조다. 이중 사유림이 166조나 차지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5.18 폄훼’ 도태우가 공유한 신평의 응원 글신평의 ‘도태우를 위한 변명’ “인생 오래 살다보면 정치적 입장 중요하지 않아”
Read more »
정부와 의사들이 이야기하지 않는, 의사파업의 진실[이게 이슈] 누구를 위한 파업이며, 무엇을 위한 증원인가?
Read more »
'청소년 유권자 89만'...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 과제는?[진단] 투표권 없는 청소년 위한 '모의투표', 생애 첫 투표 청소년 위한 '투표한다람쥐' 눈길
Read more »
한동훈의 ‘국회 세종 이전’ 띄우기 안간힘, 보수언론도 ‘비판적’중앙 “총선 2주 전에 불쑥 내놓을 사안인가”, 동아 “그때는 비판하다 변명 한마디 없이 돌변”, 조선 “...”
Read more »
민주 위성정당 “만24세까지 매달 30~50만원 지원금 드리겠다”아동·청소년 기본소득 공약 발표 만 7세까지 월 50만원, 만 24세까지 30만원 “연 44.5조원, 부자감세 취소하면 돼”
Read more »
[염재호 칼럼] 인구절벽과 우수 유학생 유치정책2022년 홍콩에는 약 34만 명, 싱가포르에는 약 27만 명의 외국인 가사도우미가 있다.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대학등록금 억제정책 때문에 사립대학들이 자발적으로 추진해온 외국유학생 유치 활동을 넘어서 정부가 체계적으로 우수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수 유학생 유치정책으로 일본 정부는 일본학생지원기구(JASSO)를 통해 도쿄 오다이바에 국제연구교류대학촌 시설을 유치하고, 도쿄국제교류관에 외국인 유학생과 연구자를 위한 주거시설을 건립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