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리뷰] tvN '리틀 할리우드, 홍콩영화는 어떻게 망했나'
'홍콩 영화'는 한때 '아시아의 리틀 할리우드'라고 불릴 만큼 높은 인기를 끌었다.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했던 홍콩이라는 국제도시의 역사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중국적 소재와 서구적 감수성을 덧입혀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특히 1970년대와 1990년대 사이에 최전성기를 구가하며 국제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21세기에 한류와 K팝 신드롬이 있었다면, 20세기에는 홍콩영화가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하지만 짧고 굵은 전성기를 누리던 '아시아의 용'은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와 시대환경의 변화 속에 너무나 급격하게 몰락하게 된다. 과연 홍콩 영화가 무너진 진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19일 방송된 tvN 143회에서는 '리틀 할리우드, 홍콩영화는 어떻게 망했나' 편을 통해 홍콩 영화의 흥망성쇠를 조명했다. 윤영도 성공회대 동아시아 연구소 교수가 이날의 강연자로 나섰다.
또한 쇼브라더스는 배우 육성에도 공을 들였다. 1964년 배우 아카데미는 '남국실험극단'을 설립하고 오디션을 통하여 자질있는 어린 배우들을 선발하여 연기 교습과 무술훈련 등을 시켰다. 배우들은 지원을 받은 댓가로 쇼브라더스의 전속배우로 활동하면서 저렴한 출연료에 장기계약을 체결해야 했다.이 시기에 쇼브라더스의 대표작인 는 당시 100만 홍콩달러라는 막대한 수익과 함께 주인공 왕우를 스타덤에 올리며 1960년대 무협영화 제작붐의 기폭제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로 1960년대 말까지 800편 이상의 무협영화가 제작되어 해외로 배급되었고, 아시아에서 북미까지 전세계에 걸쳐 143개에 이르는 쇼브라더스 극장이 세워지며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1970년에는 골든하베스트가 설립된다. 쇼브라더스의 사장이었던 추문회는 스튜디오 촬영만 고집하는 소씨 일가의 회사 경영방침에 불만을 품고 쇼브라더스를 퇴사한 이후, 하관창, 양풍 등의 인물과 의기투합하여 자신만의 회사를 설립했다.
이소룡 사후 한동안 비슷한 아류작들만 양산되며 주춤하던 홍콩 영화계는 또 한 명의 걸출한 액션스타를 발굴해내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바로 '침체된 홍콩영화의 구원자'로 불리우며 한국 팬들에게도 친숙한 성룡의 등장이다.어린 시절부터 말썽꾸러기로 유명했던 성룡은 어린 시절 홍콩의 경극학교였던 홍콩중국극단학원에 입학하여 10년간 고된 수련과정을 모두 견뎌내며 훗날 무술배우로서의 기본기를 갖추게 된다. 이 시기에 간간이 아역 엑스트라 활동을 통해 영화와도 처음 인연을 맺게 된다. 또한 홍콩영화의 전성기와 맞물렸던 '가정용 비디오 시장'의 발전은, 아시아 각국의 영화 팬들이 집에서도 편리하게 영화 시청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는 영화 수요가 더욱 늘어나는 호재로 작용했다. 검열과 자본의 부족으로 많은 영화를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던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홍콩은 매년 수백 편의 영화를 만들어냈고 아시아와 세계 각지에 전파되면서 더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연애 반성문' 쓴 카리나... 그녀는 인형이 아니다[주장] 카리나의 반성문은 왜 불편할까
Read more »
일제도 인정한 항일운동, 대한민국에서는 인정되지 않았다[독립운동가외전] 이제국은 왜 '독립유공자'에서 빠져있나
Read more »
[단독] ‘5.18 폄훼’ 도태우, 공식 유튜브·페북 돌연 연결 차단국민의힘 대구 중남구 후보 도태우, 개인유튜브채널·페이스북 왜 비공개로 전환했나
Read more »
野 “용산 민생토론회는 총선개입” vs 대통령실 “그럴까봐 정치인 안불렀다”野 민생토론회 비판공세에 대통령실 조목조목 반박 “물가 왜 안다루나” 지적엔 “매주 장관회의 열어 점검”
Read more »
여성 정치인이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한 까닭[이슬기의 뉴스 비틀기] 왜 여성의 노동은 평가절하되는가
Read more »
아버지가 사장인 직장인과 그냥 직장인의 차이[처음 읽는 공유자원체제] 당신은 왜 일하나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