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반군이 8년 만에 알레포를 점령하며 시리아 내전이 새로운 국면에 돌입했다. 알레포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반군의 손에 들어갔으며, 정부군은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
시리아 반군 대원이 지난달 30일 시리아 북부 알레포 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의 포스터를 찢어 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달 30일 AP통신·알자지라에 따르면, 전쟁 감시 단체 ‘시리아 인권 관측소’는 시리아 반군 중 가장 규모가 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이 이날 시리아 알레포를 점령했다고 밝혔다. 반군도 자신들이 알레포를 비롯해 이들리브, 하마 등 3개 도시와 마을을 점령했다고 밝혔다. 반군은 정부 기관, 교도소, 알레포 국제공항과 같은 주요 시설과 마을 수십 개를 확보하고, 수도로 연결되는 고속도로에 접한 전략적 요충지도 확보했다고 추정된다. 앞서 지난달 27일 HTS는 다른 군소 무장조직과 힘을 합쳐 병력 수천 명을 동원해 공세를 벌였다. 이들은 두 갈래로 나뉘어 알레포와 이들리브로 진격했으며, 공세 4일 만에 이와 같은 성과를 올렸다. AP는 “반군은 정부군의 반격에 거의 부딪히지 않고 이동했으며, 수년 동안 계획된 공세로 보인다”고 전했다. 튀르키예 당국자들은 반군의 공세가 정부군의 공격을 막고 민간인을 돌아오게 하는 제한적인 수준으로 계획됐으나 정부군이 후퇴하면서 확대됐다고 AP에 전했다.시리아 전쟁 국면에서 반군이 알레포를 탈환한 건 8년 만이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반군에게 알레포를 빼앗긴 사실을 인정했다. 그는 이날 밤 “테러리스트에 맞서 안보와 영토를 지키겠다”며 공세가 아무리 강해지더라도 물리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알레포 탈환으로 시리아 내전이 확대 기로에 섰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탈환은 수년 만의 가장 급격한 국면 변화로 평가된다. 시리아에선 2011년 내전이 발발해 알아사드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군이 2015년 승리하는 것으로 일단락되긴 했으나 완전히 끝나지는 않았다. 알레포는 2016년에도 수개월 동안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당시 반군은 알레포를 점령했으나 러시아, 이란 등의 지원을 받은 정부군의 공세에 밀려났다. 반군은 2017년 하마 탈환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알레포도 혼란에 빠졌다고 전해진다. 뉴욕타임스는 목격자들을 인용해 “알레포는 거의 정지 상태에 빠졌고, 많은 주민이 두려워 실내에 머물렀다. 반군 대원을 환영하고 껴안은 주민도 있었고, 일부 반군은 주민을 안심시키려 하며 빵을 나눠주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시리아 알레포 반군 내전 정부군 시리아 반군 정부 기관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시리아 알레포, 반군 세력에 점령, 전황 급변시리아 반군 세력 중 가장 규모가 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알레포와 주변 지역을 장악하며 전황이 급변했다. 알레포시 대부분의 정부 기관과 교도소, 국제공항을 포함하여 이들리브주와 하마주에도 진격해 수십 개의 마을을 점령했다.
Read more »
시리아 내전 재점화…푸틴 비호받는 '중동의 불사조' 위기(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시리아 반군이 8년 만에 알레포를 기습 탈환하면서 2011년 이후 14년간 이어져 온 내전의 판세가 급격히 흔...
Read more »
시리아 반군 HTS, 정부군에 대한 공격로 인해 255명 사망시리아 반군 세력 중 가장 규모가 큰 조직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최근 시리아 북서부에서 정부군을 향해 공격을 집중하며 24명의 민간인 포함 255명이 사망한 무력 충돌을 일으켰다.
Read more »
프랑스산 소고기 24년 만에 수입…미국·호주산보다 비쌀 듯(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김윤구 기자=프랑스산 소고기가 2000년 이후 24년 만에 국내 시장을 공략한다.
Read more »
[트럼프 재집권] 美 권력지형 급변…공화, 백악관·상원 이어 하원도 장악 기세(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 이후 행정권은 물론 입법권까지 장악...
Read more »
“박스피에 발등 찍히고 삼성전자에 뒤통수”...할 말 있는 서학개미들코스피 2011년 이후 박스권 美반도체 지수 31% 오를때 삼성전자 28% 하락 ‘뒤통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