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3명 중 2명은 한국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갈등도는 상승하고, 통합 수준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이상은 진보...
성인 3명 중 2명은 한국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갈등도는 상승하고, 통합 수준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이상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심각하다고 생각했는데, 절반 이상은 정치 성향이 다르면 연애나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전체적으로 사회 투명성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고, 정치 성향에 따라 소통의 단절도 큰 것으로 풀이된다.
영역별로 국민들은 사법·행정 시스템, 기업 성과 평가 및 승진 심사, 신입사원 채용, 대학입시 등 순으로 불공정하다고 느꼈다. 사회적 불공정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득권의 부정부패’가 가장 많이 꼽혔다. ‘지나친 경쟁 시스템’, ‘공정한 평가 체계의 미비’, ‘공정에 대한 사람들의 낮은 인식’, ‘계층이동 제한과 불평등 증가’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사회의 투명성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분석했다.국민들이 인식하는 사회 통합도는 낮아지고 갈등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통합도는 10점 만점에 4.2점으로 2021년 4.59점에서 0.39점 하락했다. 사회갈등도는 2018년 2.88점에서 작년 2.93점으로 소폭 상승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대로는 중장년이 다른 연령대보다, 소득분위로는 1분위가 다른 소득분위에 비해, 지역의 경우 농어촌 거주자가 다른 지역보다 사회갈등 심각도가 높았다.
응답자들은 여러 사회 갈등 중 진보와 보수 간 정치적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보수 갈등은 2018년에도 한국 사회에서 가장 첨예한 갈등으로 꼽혔지만, 그 정도는 점점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92.33%가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매우 심각하거나 심각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진보와 보수 정치 성향에 따른 갈등에 이어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갈등, 노사갈등, 빈부 갈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갈등, 지역 갈등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갈등에 대한 심각도가 2018년 49.6%에서 지난해 60.9%로 큰폭 상승한 점이 눈에 띄었고, 젠더갈등 심각도는 같은 기간 52.28%에서 46.61%로 감소했다.지난 몇년 간 청년들 사이에서 ‘공정’이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로 떠올랐지만, 한국 사회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은 청년층보다 오히려 중장년층에게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장년층 67.9%, 청년층 62.1%, 노년층 59.4%이 우리 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국민 3명중 2명 '사회 불공정'…중장년, 청년보다 불공정 인식↑(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우리 국민 3명 중 2명은 한국 사회가 불공정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Read more »
‘노란봉투법’ 법사위 통과...다시 본회의에 오른다재석 17명 중 10명 찬성으로 의결
Read more »
고용시장 왜곡하는 '일자리 미스매칭'… 청년 백수 130만명 육박눈높이 맞는 일자리 태부족구직기간 11.5개월 '역대 최장'청년 4명 중 1명 '그냥 쉰다'
Read more »
글로벌 시장참여자 10명 중 6명 “한국 국채통합계좌 사용 의사 있다”블룸버그, 308명 대상 설문 결과 국고채 시장 개혁으로 관심 증가 세계국채지수 편입 기대감 커져
Read more »
정치 성향 달라도 연애·결혼할 수 있나?…국민 58% '불가능'(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국민들이 평가한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이 최근 2년간 대폭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했던...
Read more »
국민 65% “불공정”…‘갈등’ 쌓이는 한국성인 3명 중 2명은 한국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갈등도는 상승하고, 통합 수준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이상은 진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