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지역은 어떻게 블랙리스트를 재생산하나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지원 배제의 정황이 발견되고 문화예술인들이 처음으로 광화문 광장에 은박지를 두른 채 농성 투쟁에 들어갈 때는 이 일이 어떠한 결과를 만들어 낼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다.
이는 2017년 7월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의 출범으로 이어졌고, 위원회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가 얼마나 광범위하고 조직적이며, 교묘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진상조사위 활동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진상이 밝혀지지 못한 사례가 없다고 할 수 없고, 주요 책임자들 중에는 교묘하게 그 책임을 비켜간 이들도 적지 않았으나 적어도 이념과 정치적 이해에 따른 예술 검열과 배제, 예술 지원제도의 사유화와 예술인의 권리 보호에 대한 우리 사회의 기준점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14년 지역문화 진흥법 제정 이후에는 광역 및 기초에 속속 문화재단이 만들어지면서 현재 지역문화재단의 수는 130여 개에 이르며 각 문화재단마다 운영하는 공연장, 도서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까지 합한다면 지역 중심의 문화 현장은 끝없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이재명 방탄용 탄핵 남발' vs '박근혜 탄핵 반면교사해야'(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11일 헌법재판소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검사 탄핵 소추의 적절성을 두고 충돌했다.
Read more »
경남,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집회 '윤석열 퇴진''민생파탄, 국정농단, 친일매국, 전쟁광 윤석열정권 끝장내자.' 경남지역 노동자‧농민‧청년학생‧시민들이 거리에서 '윤석열 퇴진'을 외쳤다. 민주노총 경남본부‧전농 부경연맹‧전여농 경남연합‧경남진보연합과 진보당‧정의당‧노동당 경남도당이 28일 늦은 오후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과 경남도교육청 사이 도로에서...
Read more »
'성차별 조직문화 'D등급'…임신·출산·육아휴직 사용 어려워'(서울=연합뉴스) 장보인 기자=일터에서 벌어지는 성차별이 여전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Read more »
한동훈 ‘김건희 라인’ 콕 짚으면서 “존재하면 안 돼”한 대표 “탄핵 앞장섰던 권성동의 탄핵공포마케팅, 국민이 어떻게 생각할지”
Read more »
[신헌철칼럼] 사법부에 운명을 맡긴 한국 민주주의이재명 선거법 1심에 799일대법원까지 불복 흐름 계속헌재로 향하는 탄핵 빌드업신속 재판이 국민 위한 길
Read more »
“용산 대응 전례없이 소극적”···명태균에 화력 집중하는 野“최순실에 놀아나던 박근혜 정권 생각나” 22대 국회 첫 국감 사흘만에 이슈 집어삼킨 명태균 의혹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