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3분기 개편안 마련 예·적금 창구와 분리해 운영 PB급 전문인력이 상품 설명
PB급 전문인력이 상품 설명 은행 점포에 예·적금·대출을 취급하는 일반 창구와 구분될 수 있는 ‘금융투자상품 취급 전용 창구’를 개설하는 방안이 금융당국에서 검토되고 있다. 금융투자 전용창구에는 은행 프라이빗뱅커급의 투자상품 전문인력을 상주시키고 예·적금을 취급할 수 없도록 해, ‘안정추구형’ 투자성향의 소비자들이 충분한 정보없이 접근했다가 피해를 보는 것을 막자는 취지이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은행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취급 제도 개선안을 검토해 이르면 올해 3분기 중 발표할 계획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 4조원 안팎의 손실이 예상되는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과 같이 은행이 판매한 금융투자상품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제도 개선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르면 올해 3분기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미국과 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금융투자상품을 취급하는 별도 창구를 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해당 창구에서는 예·적금 상품 취급을 못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예·적금 상품 창구와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투자성향이 소비자들이 창구에서부터 분리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금융투자 전용창구에는 은행 PB, 자산관리전문가 등이 소비자들을 맞도록 하는 조치가 병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일각에서 거론됐던 ‘은행 ELS 가입자의 자격 제한’은 도입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일정 시간 전문 교육을 받은 금융소비자들에게만 ELS 등 고난도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자격을 준다는 내용인데, 금융당국은 국내 금융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에게 교육을 받고 투자하라는 것과 같은 얘기”라며 “은행권에서 나온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도입은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ELS 관련 제도 개선안을 준비하면서 해외 사례를 취합해왔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18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구조화 채권’과 관련된 논란이 일었다. 구조화 채권은 파생상품을 이용해 높은 수익률을 책정하는 금융상품이다. 일본 금융청과 일본증권업협회는 지난해 구조화 채권 판매 권유 가이드라인을 개정해 △투자 손실이 발생하면 생활 유지나 노후생활에 문제가 발생하는 고객 △투자경험이 없는 고객 등에 대해 판매권유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돈 벌고 싶다면 ‘이곳’ 노려라”…지금의 ‘엔비디아 열풍’ 저리가라는데 [Books]스페이스 이코노미 / 채드 앤더슨 지음 / 장용원 옮김 / 민음인 펴냄 / 2만원
Read more »
서울 재개발·재건축 가장 많은 지역, 서초구 아닌 ‘이곳’이라고?서울시, 정비사업 현황 6개월마다 공개 구역 총 690개…성북 51곳·서초 47곳
Read more »
긴급체포 되고 캐디는 휴가 가고 … 흔들린 셰플러제106회 PGA 챔피언십연속 언더파 '42R'서 중단'실수 많고 루틴대로 안돼'
Read more »
이스라엘 탱크, 라파 중심가 진입···유엔 공격 중단 명령에도 이틀 연속 폭격전날 탈 알술탄 피란민촌 공습 이어 라파 중심부 처음으로 진입해 하마스 “밤새 최소 16명 사망”
Read more »
“오빠 손 들어준 장녀”...경영권 분쟁서 완패한 셋째딸, 회사 떠난다구본성 전 부회장, 주총 승리 장녀 구미현, 사내이사 선임 아워홈 매각 급물살 탈 듯
Read more »
결국 오빠 손 들어준 장녀 '아워홈 분쟁' 구지은 완패구본성 장남·구미현 부부임시주총서 사내이사 선임아워홈 매각 급물살 탈 듯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