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부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고 있다는 한국 정부에 ‘가혹한 대응’을 거론하며 개입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는 허위이자 과장된...
윤석열 대통령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이 24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공동 언론 발표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러시아 정부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고 있다는 한국 정부에 ‘가혹한 대응’을 거론하며 개입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북한군 러시아 파병 보도는 허위이자 과장된 정보라고 부인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군 활동 여하에 따라 검토해 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한국 정부의 최근 발표와 관련해 “러시아는 우리 국가와 국민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모든 조치에 가혹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조치는 가시적일 수 있다”며 “한국 당국이 신중하고 상식적으로 판단하길 희망한다”고 했다. 또 “한국이 우크라이나 분쟁에 참여했을 때 한국 안보에 발생할 수 있는 결과를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공격용 무기 제공을 포함한 단계적 우크라이나 지원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 한국 정부의 반응이 당혹스럽다”며 “한국 정부는 ‘테러 정권’인 우크라이나에 놀아나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관련 각종 보도를 두고는 “허위·과장 정보”라고 일축했다.타스통신에 따르면 이날 하원은 본회의 첫 번째 안건으로 올라온 북·러 조약 비준안을 심의하고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4일 북·러 조약 비준안을 하원에 제출했다. 지난 6월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계기로 체결된 이 조약은 쌍방 중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면 다른 쪽이 군사원조를 제공하고 안보협력을 심화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연 뒤 공동 언론 발표를 하며 “ 살상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러한 부분에서도 더 유연하게 북한군의 활동 여하에 따라 검토해 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특수군을 우크라이나 전장에 파견하면 단계별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또 한반도 안보에 필요한 조치들을 검토해놓고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윤 대통령, 북한군 활동에 따라 “우크라이나 살상 무기 지원 검토”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는 게 원칙이었는데 더 유연하게 북한군 활동 여하에 따라 (살상 무기 지원을) 검토해 나갈 수 있다”고 ...
Read more »
러, 서방에 핵위협 속 北과 초밀착…북러조약 비준 초읽기러, 서방에 핵위협 속 北과 초밀착…북러조약 비준 초읽기 - 2
Read more »
尹, 우크라 무기 지원에 '북한군 활동에 따라 유연하게 검토'(종합)(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곽민서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과 관련, '살상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는다는 대원...
Read more »
미국 국방부, 기술 인재에 구애 손짓... 밀착하는 펜타곤-실리콘밸리실리콘밸리 기술기업들은 오랜 기간 국방부와의 협력에 거부감을 보여 왔다. 기술을 살상 무기 등의 개발에 이용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고
Read more »
북한군 내달 1일 전장 투입될 듯 … 김정은, 북러혈맹 '올인'국정원, 北 러 파병 공식확인지난 8~13일 러 군함 통해특수부대 1500명 우선 투입러 본토 쿠르스크 배치 예상대규모 지상군 첫 해외 파병국제정세 '핵폭탄급 충격'
Read more »
김건희 여사 활동 자제 의견에…한동훈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한동훈 대표 김 여사 활동자제 첫 언급 22대 국회 첫 국감 사실상 ‘김건희 국감’ 최근 명태균 논란 공천개입 의혹으로 번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