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상수원 ‘발암물질’…당국은 “괜찮다”

낙동강 상수원 ‘발암물질’…당국은 “괜찮다” News

낙동강 상수원 ‘발암물질’…당국은 “괜찮다”
United States Latest News,United States Headlines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낙동강 상수원의 수질측정센터 4곳에서 발암물질이자 ‘좀비 화합물’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이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이 ...

낙동강 상수원의 수질측정센터 4곳에서 발암물질이자 ‘좀비 화합물’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이 미국 환경보호청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이 같은 사실을 파악하고도 “먹는 물 우려는 없다”며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이 나온다.

환경부는 23일 경북 왜관과 강정, 경남 남지와 물금 등 4개 지점에서 지난해 수행한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환경부는 이 조사 결과를 담은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114종 조사, 안전한 먹는 물 생산에 우려 없는 수준’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에서 “검출된 76종 중에 국내외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환경부가 배포한 상세자료를 살펴보면 발암물질인 PFAS 중 일부가 EPA 기준치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EPA는 지난달 PFAS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과불화옥탄산과 과불화옥탄술폰산의 기준치를 4ppt로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역시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과불화노난산과 과불화헥산술폰산 등은 10ppt로 기준치를 정했다.

이는 미국지질조사국이 2016~2021년 수돗물 성분을 분석한 결과 45%가 넘는 샘플에서 이 물질이 검출된 것에 따른 조치다. 수돗물 등에 극미량만 포함돼도 다수 시민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기준치를 강화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먹는 물 수질 감시 항목에 PFOA와 PFOS, PFHxS 등 PFAS가 들어가 있다.PFAS는 안정적인 화학구조로 분해가 잘 안 돼 일명 ‘불멸의 화학물질’ ‘좀비 화합물’ 등으로 불리는 물질이다. 방수, 내열 기능 등이 있어 주로 식품 포장지,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 조리기구의 코팅 등에 사용되고 있다. 임신부의 탯줄을 통해 태아에게도 노출될 우려가 있는 유해물질이다. 환경부 자료를 보면 구체적으로 왜관에서는 PFOA가 최대 6.1ppt로 EPA 기준치를 넘겼고, 남지와 물금에서는 같은 물질 농도가 각각 14.5ppt와 12.6ppt로 기준치의 3배를 넘어섰다. 또 물금에서는 PFOS가 4.0ppt로 기준치와 같은 수치가 기록됐다.

EPA가 최근 강화한 기준치를 웃도는 수치가 곳곳에서 확인됐는데도 환경부는 보도자료에서 이들 물질에 대해 “국외 기준치가 없는 물질”이라고 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조사에서는 국내 먹는 물 기준의 감시 항목에 따른 내용만을 담았다”고 했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kyunghyang /  🏆 14. in KR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낙동강 수계 곳곳서 ‘좀비 발암물질’ 미국 기준치 넘겼다···환경부 “먹는물 우려 없어”낙동강 수계 곳곳서 ‘좀비 발암물질’ 미국 기준치 넘겼다···환경부 “먹는물 우려 없어”낙동강 상수원의 수질측정센터 4곳에서 발암물질이자 ‘좀비 화합물’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이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이 같은 사실을...
Read more »

'2차 드래프트 성공신화', 올해는 NC 김재열이다'2차 드래프트 성공신화', 올해는 NC 김재열이다[KBO리그] 롯데와의 안방 3연전 이틀 연속 노히트 투구, NC 낙동강 시리즈 스윕
Read more »

샛노랗게 물든 낙동강 해평습지... 생태폭력의 현장샛노랗게 물든 낙동강 해평습지... 생태폭력의 현장'국제 생물다양성의 날'에 돌아본, 큰금계국에 잠식당한 낙동강 해평습지
Read more »

'방법 강구 안 하면 온 산천이 노랗게 된다'는 경고'방법 강구 안 하면 온 산천이 노랗게 된다'는 경고[인터뷰] 큰금계국 점령 낙동강 해평습지 본 김종원 전 교수의 일침 "환경부 직무유기"
Read more »

세종보 재가동 초읽기... 수몰지서 '결사항전' 천막농성 돌입세종보 재가동 초읽기... 수몰지서 '결사항전' 천막농성 돌입[환경새뜸] 금강·낙동강·영산강 활동가 연대 기자회견... "수문 닫으면 물떼새 학살" 우려
Read more »

“발암물질 나왔다는데 다들 몰려가네”…온라인 해외직구 1위 국가는“발암물질 나왔다는데 다들 몰려가네”…온라인 해외직구 1위 국가는통계청, 3월 온라인쇼핑동향 발표 중국 직구 1년 만에 16.5%P 급증 1분기 온라인 거래 규모 역대 최대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8: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