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12월 3일 '계엄의 밤' 당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비상계엄 건의를 사전에 보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쪽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 변호인단은 26일 기자회견에서 김 전 장관이 국무총리에게 먼저 보고하고, 그 후 대통령에게 건의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쪽은 국회에서 증언한 바와 같이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직접 듣기 전까지 관련 보고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고,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정당한 대응조치를 취할 방침임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 변호인단은 26일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하상 변호사는"그날 국무회의가 있었는데 사전에 국무총리에게 먼저 보고하고,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절차를 밟았다고 김 장관이 명확히 얘기했다. 국무총리는 장관으로부터 먼저 들어서 대통령보다 먼저 알았다는 게 장관의 명확한 설명"이라고 강조했다.
한덕수 권한대행 쪽은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한 대행 쪽은"이미 국회에서 여러 차례 증언하신 바와 같이 12월 3일 21시경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직접 듣기 전까지 관련한 어떤 보고도 받은 사실이 없다"라고 전했다. 이어"이러한 허위 사실을 주장한 데 대해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정당한 대응조치를 취할 방침임을 명확히 말씀드린다"라고 강조했다.김 전 장관 쪽은 기자회견 내내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했다. 이하상 변호사는 국회 등 일체의 정치활동 금지를 담은 계엄사령부 포고령 1호와 관련해"정치세력이 국회를 숙주 삼아서 불법적인 국헌 문란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게 장관이 이해하는 대통령의 판단이다. 그래서 정치활동 금지는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김 전 장관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이후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는 정치행위와 관련한 일반적인 포고령 위반 사범 수사와 선거부정에 대한 수사를 준비했다. 이 변호사는"2수사단 수사에는 여론조작에 대한 수사와 전산 조작·실무투표 조작에 대한 수사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었다"면서"또한 국내 거점이 없고 해외 거점을 둔 여론조작 선거조작 세력에 대한 업무 담당을 정보사령부, 국내 선거부정 여론조작 카르텔에 대한 수사는 방첩사령부로 업무를 나눠서 부여했다"라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 쪽은 또한 윤석열 대통령이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조지호 경찰청장 등에게 연락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거나 정치인들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변호사는" 자정 무렵에 장관에게 국회의원 출입을 막거나 활동을 막지 말라고 명확히 지시했다고 한다. 그런 지시가 장관에게 내려왔는데 그 이후에 장관 지휘를 받는 특전사령관, 경찰청장 등에게 그에 반하는 지시 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