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로 전세보증금 실질가치 떨어지고 이자부담 늘며 전세거주 청년 부담 커져 물가급등에 2년간 소비증가율 5%P 하락
물가급등에 2년간 소비증가율 5%P 하락 고물가와 고금리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계층이 빚을 내 전세를 구한 45세 미만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물가 상승으로 전세보증금의 실질가치가 떨어진 점, 높은 금리로 이자 비용이 늘어난 점이 이 집단의 부담을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고물가는 2년동안 소비 증가율을 5%포인트가량 떨어뜨렸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고물가와 소비:가계 소비 바스켓·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 영향’ 보고서에서 2021년부터 올해 4월까지 소비자물가 누적 환산 상승률이 12.8%, 연간 기준으로는 3.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연간 환산 상승률 1.4%였던 2010년대의 두 배가 넘는 숫자다.연구진은 “그간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 인상이 이뤄졌다”면서 “전세보증금 자산과 변동금리부 금융부채를 동시에 보유한 가계는 고물가·고금리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고물가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켰다는 내용도 담았다. 연구진은 2021년부터 가파르게 오른 물가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봤다. 그 결과 2021∼2022년 실질 구매력 축소는 소비 증가율을 약 4%포인트 낮춘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 훼손은 소비 증가율을 1%포인트가량 내렸다는 분석이 나왔다.민간 소비는 올해 들어 다소 회복됐지만 여전히 2015∼2019년 추세를 크게 밑돌고 있다. 재화와 서비스를 나눠보면 재화 쪽의 물가 상승·소비 부진 현상이 더 뚜렷했다. 재화는 서비스보다 글로벌 공급 차질과 이상 기후 등 공급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물가가 오르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과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가 함께 떨어지면서 민간 소비가 위축된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물가 상승을 체감하는 정도는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특히 높았다. 2020∼2023년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실효 물가 상승률은 각각 16%, 15.5%로 집계됐다. 청·장년층과 고소득층보다 높은 수치다. 이는 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식료품 등 필수재의 소비 비중이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컸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고령층의 경우 대체로 부채보다 금융자산을 많이 보유한 만큼 물가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 경로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전쟁인데 실탄 안줘서야”...한국 반도체 보조금 서두드라는 교수들상경대 교수 설문조사…“첨단산업 지원 서둘러야” 2명 중 1명 “올 경영 최대 리스크는 고금리·강달러”
Read more »
'韓 반도체 보조금, 한시가 급하다'상경대 교수 설문조사 … '첨단산업 지원 서둘러야'2명 중 1명 '올 경영 최대 리스크는 고금리·강달러'
Read more »
돈 못갚는 기업들 … 금융권 부실채권 매각 급증고금리 장기화·경기침체 여파은행 NPL 매각 144% 늘어1분기에만 벌써 1조7300억
Read more »
기업도 자영업자도 고금리에 무릎…은행 부실채권 매각 2배이상 늘었다고금리 장기화·경기침체 여파 은행 NPL 매각 144% 늘어 1분기에만 벌써 1조7300억
Read more »
“샤넬백도 있고 50개월 무이자도 가능합니다”...여사님들 몰리는 이곳은롯데카드 쇼핑몰 ‘환승프로젝트’ 입소문 고금리 속 최장 50개월 무이자 할부 잔존가치 인정…초기 자금부담 확 낮춰
Read more »
1분기 은행 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대고금리·경기부진 영향으로1년새 0.1%P 올라 0.43%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