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에 대한 불안, 경제적 불안, 고용 불안, 죽음에 대한 불안 등 일상에서 겪는 불안의 형태는 다양하다. 불안과 수행 효율성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을 보면 불안 수준이 증가할수록 수행 효율성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강 교수는 '매일 먹어야 하는 약이 SSRI이고 심할 때 먹거나 장기적으로 줄여야 하는 약이 벤조디아제핀인데 거꾸로 드시는 분들이 있다'며 '벤조디아제핀은 치료가 아닌 증상을 눌러주는 약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 치료가 꼬이게 된다'고 강조했다.
정상적 불안 vs 병적 불안 현대인은 누구나 살면서 불안을 경험한다. 성적에 대한 불안, 경제적 불안, 고용 불안, 죽음에 대한 불안 등 일상에서 겪는 불안의 형태는 다양하다. 그리고 이런 불안은 삶의 고통으로 자리하기도 한다. 부정적인 감정이지만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이다.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승걸 교수는 “불안은 사람이 위기에 적응하기 위한 어떤 경고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경각심의 원천이기도 하다. 실제로 불안은 수행력을 끌어올려 준다. 불안과 수행 효율성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을 보면 불안 수준이 증가할수록 수행 효율성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불안이 자신의 기능과 위기 대처 능력을 높여주는 셈이다.불안을 극명하게 표현하는 말이 있다. ‘방 안에 말벌이 들어왔을 때 말벌이 날아다니면 스트레스고 그 말벌이 갑자기 사라지면 그때부터 불안이다.’ 불안은 사람의 생각이 만든 존재인 셈이다. 문제는 불안이 일정 수준을 넘어설 때다.
반면 사회불안장애는 사회적 관계나 상황에 대해 극심한 불안으로 고통을 겪는 불안장애다. 이 경우 대중 앞에 나서거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 식사하고 대화하기를 고통스러워한다. 정도가 약하면 수줍음이지만 불안의 증상이 심각하면 사회불안장애인 셈이다. 강승걸 교수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는 친한 사이나 가족 간에는 괜찮지만 초면인 사람과의 대인관계를 불안해하거나 스트레스로 받아들인다”며 “식당이나 가게에서 주문하기도 힘들어하고 식당에서 혼자 밥 먹는 것도 불안해하면서 힘들어한다”고 말했다. 물론 특정 증상이 있다고 불안장애는 아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상담, 설문검사 등을 통해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해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극심한 불안이 6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치료를 권고한다.치료는 약물치료와 상담치료가 기본이다. 약물의 경우 항우울제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항불안제가 주로 쓰인다. SSRI는 항우울제지만 불안장애 치료에도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단,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증상이 호전돼도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6개월 혹은 1년 이상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괜찮아졌다고 환자가 임의로 약을 끊는 것은 금물이다. 최대한 약을 안 먹겠다고 버티는 것도 마찬가지다. 김혜원 교수는 “좀 나아지면 자발적으로 약을 끊거나 병원에 다니면서도 증상이 심한데 약을 안 먹고 버티는 분들이 있다”며 “이러한 행동은 치료 기간을 늘리고 병을 키우는 원인”이라고 말했다. 약을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고 반대로 먹는 것도 위험하다.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은 SSRI인데, 그 대신 약 특성상 효과가 즉각적인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다. 강 교수는 “매일 먹어야 하는 약이 SSRI이고 심할 때 먹거나 장기적으로 줄여야 하는 약이 벤조디아제핀인데 거꾸로 드시는 분들이 있다”며 “벤조디아제핀은 치료가 아닌 증상을 눌러주는 약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 치료가 꼬이게 된다”고 강조했다. 벤조디아제핀은 의존성이 있는 약물이라 반드시 처방대로만 복용해야 한다.
또한 치료를 힘들게 하는 것은 사람들의 오해다. ‘불안장애는 나약해서 생긴다’라거나 ‘정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오해가 대표적이다. 강 교수는 “불안감을 보이면 나약하다고 생각하고, 어렸을 때나 과거에 뭔가 불안한 경험이 있거나 양육이 잘못됐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 모두 오해”라며 “대부분의 불안장애는 이런 것들과 무관하고 특별한 원인 없이 생겨 딱히 예방하기도 어려운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설사 이해가 잘 가지 않더라도 주위에 불안으로 힘든 상황에 있는 분들이 있으면 지지하고 따뜻하게 대해주는 게 필요하다”며 “필요할 경우 병원을 방문하도록 얘기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불안 불안장애 약물치료 상담치료 SSRI PTSD 정상적 불안 병적 불안 헬스PICK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최대 반값이래”…이 참에 나도 장만해볼까, 날 따뜻해지자 난리난 이 곳바야흐로 캠핑의 시대다. 캠핑 열기가 수년째 이어지면서 전국 야영장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3일 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야영장 수는 3747개로, 전년 대비 467개나 늘었다. 일 년 새 500개 가까이 새로운 캠핑장이 생겼단 건데,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야영장 중 일반야영장은 2999개, 자동차야영장(오토캠핑장)은 7
Read more »
“이 가격 이 조건이면 이게 더 낫네”…3만원대 5G 등장, 알뜰폰보다 쌀까이동통신 3사가 중저가 5G 요금제를 선보이자, 통신비 부담에 알뜰폰으로 교체하려 했던 소비자들이 일단 결정을 보류하고 계산기를 꺼내들었다. 6일 알뜰폰 통합 상품제공 사이트 ‘알뜰폰허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알뜰폰 5G 요금제는 음성·문자 무제한 조건으로 제공 데이터는 7GB부터 10GB까지, 가격대는 월 1만450원부터 2만900원으로 구성됐다. SK
Read more »
이준석, ‘범여’냐 ‘범야’냐···“국민의힘 러브콜 이해한다”이준석 대표 포함 개혁신당의 포지션을 놓고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 대표는 “개혁신당은 선명한 야당”이라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 일각에선 결국 이 대표가 여권에 복귀하...
Read more »
[분당갑] '뭐야? 이광재가 이긴다고?' 얼굴 빨개진 안철수-미소 띤 이광재[현장] 이 52.8%-안 47.2% 출구조사 '이변'에 대비된 양쪽… 이, 변동 가능성에 자축은 '자제'
Read more »
동네 빵집 ‘성심당’의 힘…파리바게뜨·뚜레쥬르도 제쳤다대전을 대표하는 브랜드이자 명소로 자리잡은 동네 빵집 ‘성심당’이 지난해 영업이익에서 대기업 프렌차이즈들을 제쳤다. 평일이고 주말이고 점포 앞에 ‘빵지순례객’이 길게 늘어서는...
Read more »
미 외교전문지 '이종섭 논란, 총선 앞둔 여당에 골칫거리'이 대사 임명 비판 여론 보도 "이 대사 임명, 한-호주 간 외교적 신뢰 어겨"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