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출신 국회의원 당선인 김윤정부, 독단적 추진 반발 불러2000명 숫자 고집 말아야의료계는 전면백지화 거두길
"정부와 의료계가 한발씩 물러나야 하는데 그 첫발은 정부가 떼야 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먼저 숫자에 대한 고집을 내려놓고 민간과 의료계, 정부와 정당 관계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를 꾸려 국민의 눈높이에서 증원 규모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윤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회의원 당선인은 지난 12일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의료대란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정부가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이번 정책이 의료계 반발을 부른 것은 정부가 '정원 확대에 대해 충분히 논의했다'고 주장하는 근거인 의료현안협의체 회의가 모두 비공개로 진행됐기 때문"이라며"증원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고 그 구성원과 회의 내용을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정부가 양보한 만큼 의료계도 전면 백지화 주장을 거두고 협의체에 참여한다면 5월 말 입시요강 공고 전까지 통일된 증원 규모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당선인은 증원 규모에 대한 재논의를 원하는 민심이 22대 총선 결과에 반영됐다고 보고 있다. 그는"국민들의 80~90%가 증원을 찬성하는 상황에서 여당이 과반의 지지를 얻지 못한 건 현 정부의 추진 방식이 독단적이라는 뜻"이라며"의대 증원 문제를 정부에만 맡길 게 아니라 여야 대표가 나서서 대통령을 설득해 2000명이란 숫자에 매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에서 국회의원으로 변신하는 그는"의대 증원과 필수·지역의료 살리기에 소임을 다해야 한다는 마음만은 변함없다"며"교수와 달리 정치인은 사회적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을 없애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는"최근 강원, 충북, 부산 등에서 일어난 응급실 뺑뺑이 사망사건만 봐도 지역에 의사가 얼마나 부족한지 알 수 있다"며"특히 지역일수록 고령 인구가 많아 의료수요가 높은데 그 상황을 뻔히 알면서도 의대 증원을 반대하는 건 '뜨거운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달라'는 것과 같은 모순"이라고 말했다.
그가 임기 내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사회적 협의체가 주도하는 '10년짜리 로드맵'을 실행하는 것이다. 장기 레이스인 의료개혁 과제가 정치적으로 이용당하는 데 그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지속성을 담보하자는 취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현장영상+] 정부 '2천 명, 비수도권·소규모·지역 의대에 집중 배정할 것'[앵커]정부가 오늘(20일) 의대 증원 2천 명에 대한 대학별 배정 결과를 공개합니다.한덕수 국무총리가 먼저 의대 증원 필요성을 강조하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
Read more »
[속보] 한 총리 “2천명 의대 증원은 최소 숫자”…적당히 타협하면 국민 피해”의료개혁 대국민담화 비수도권·소규모 의대·지역 거점 의대에 증원 인원 집중 배정
Read more »
의협, 여당 참패 총선 결과에 “국민이 ‘의대 증원 중단’ 요구한 것”“대화할 의지 있다면 각종 명령과 고발, 행정처분 철회하고 의대 증원 절차 중단해야”
Read more »
'여전히 살얼음판'... 그래도 홍익표가 '일내겠다'는 이유[인터뷰] 채 상병 특검, 의대 증원 등 윤석열 정부 견제한 뚝심, '험지' 서초을에 먹힐까
Read more »
“의대 증원 논의, ‘의과학자’ 대안은 빠져”…과학정책 전문가 이찬구 충남대 교수“과학기술과 교육, 문화는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미래를 위한 예산은 늘려나가야 하는데 연구·개발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은 아쉬운 일입니다.” 최근 출판된 ...
Read more »
“수도권 역차별, 분노 폭발” 수험생·학부모도 의대 증원·배정 취소소송서울지역 의과대학생 및 학부모, 수험생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및 배정 방침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의대 교수들과 전공의 대표에 이어 같은 취지의 소송에 나선 것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