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국가 첨단전략산업에 해당하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7일 발표한 '주요국 첨단산업별 대표기업 지원정책 비교' 보고서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은 경제안보 측면에서 반도체와 이차전지에 대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의 지원 수준은 매우 미흡한 수준이라고 밝혔다.한경협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일본은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국가전략사업으로 여기고 수조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투입 중이다.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칩스법 서명식에서 국가안보는 반도체 산업에 달려있다고 언급하고, 같은 해 10월 반도체 수출통제 개정 조치로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를 강화했다. 또 인텔에 85억달러 보조금 투입 계획도 발표했다.일본 정부는 반도체 산업 재부흥을 목적으로 연합 반도체 기업인 라피더스 설립에 63억달러의 보조금을 투입했고, 추가 지원 방안까지 고려 중이다.이차전지 분야에서 뚜렷한 대표기업이 없는 미국은 IRA를 통해 부품의 최소 50% 이상이 북미 지역에서 생산ㆍ조립된 경우 등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중국 정부는 1990년 제8차 5개년 계획에 따라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인 CATL에 2011년 설립 당시부터 지원하고 있고, 최근 보조금 지급 범위를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로 확대했다.반면 한국은 반도체와 이차전지 산업에 대한 보조금이 전혀 없고, 결국 이는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한경협의 지적이다. 한국 이차전지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1년 30.2%, 2022년 23.7%, 2023년 23.1%로 2년 새 7.1%포인트 떨어졌다.한동안 세계시장을 석권했던 한국 액정표시장치 제품은 중국이 2012년부터 '전략적 7대 신성장산업'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정해 대규모 보조금을 투입한 이후부터 가격경쟁력을 상실했다.
한국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부문에서도 중국의 대규모 보조금과 투자 앞에 위태로운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2023년에 중국 대표 LCD와 OLED 생산업체인 BOE에 4억2천만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한 바 있다.직접 환급제도란 기업이 납부할 세금보다 공제액이 더 크거나 납부할 세금 자체가 없는 경우 그 차액 또는 공제액 전체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email protected]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6만 전자'도 깨질 위기... 미국 수상한데 한가한 윤 정부[대통령을 위한 반도체 특별과외] 삼성전자에 직격탄 될 GAA·HBM 규제 움직임
Read more »
인스타그램 10대 청소년 계정, 비공개로 바뀐다…메시지 전달도 팔로워만 가능메타, 중독 등 안전 사용 강화 방안 마련 美·캐나다 우선 적용, 한국은 내년 전망
Read more »
나스닥, AI반도체 투자 위한 지수 'ASOX' 국내서 '세계 첫 공개'(종합)(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는 9일 인공지능(AI) 반도체 투자를 위한 '미국 AI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ASO...
Read more »
미래에셋, 국내주식형 ‘TIGER TOP10 시리즈’ 9종 순자산 총합 2.5조 넘었다국내 최초 대형주 집중 투자 ETF 반도체·2차전지 등 테마로 인기
Read more »
산업부, 노벨상 수상자·석학과 국제 공동 R&D 지원바이오·반도체 등 44개 과제 2028년까지 6840억원 투입
Read more »
일본·중국 반도체 날아가는데…‘K반도체’ 주가만 날벼락 [특징주]19일 한국증시 반도체 간판주 급락 SK하이닉스 장중 -8% 삼성전자 -3% 일본은 도쿄일렉트로닉 등 매수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