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노동이슈 정립을 위한 22대 국회 정책과제 모색' 주제로 국회 토론회 열려
ESG 경영 등 비재무 요소가 기업 가치 및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선도적인 유럽연합은 내년부터 ESG 전 영역에 걸쳐 공시를 의무화했고, 미국도 2026년부터 상장기업 전체에 대해 기후공시 의무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10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ESG 노동이슈 정립을 위한 22대 국회 정책과제 모색'이라는 주제로 이학영 국회부의장과 김현정 국회의원실, ESG코리아 주관으로 개최됐다. 그는 이어"자연, 노동, 사회, 경제 등 부문별 지속가능성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성찰적 성장론, 재산업화, 큰 정부, 사회생태학적 노동, 더 많은 민주주의 등 정책적 과제가 필요하다"며"그렇지 않으면 한국의 산업은 국제시장에서 퇴출되고 환경과 일자리 모두를 잃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박 연구위원은 또"노동-환경의 만남을 통한 전환의 주체 형성 및 전환을 위한 로드맵의 설계가 가능하고 탄소중립과 일자리의 필요성에 대한 상호인정과 공통적인 실천 기반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노동조합과 기후단체가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동맹'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강충호 아주대학교 융합ESG학과 특임교수는 'ESG에 대한 노동조합의 전략적 대응'라는 주제발표를 통해"우리나라에서는 ESG 중 E와 G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사회적 책임을 뜻하는 S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최근 ESG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 정책은 늘어나고 있으나 ESG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책이 없어 'ESG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발제가 끝난 후 홍지욱 민주노총 기후특위 위원장, 이상윤 한국노총 정책부장,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호동 디지털노동문화복지센터 이사장,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윤철민 대한상공회의소 ESG경영실장 등이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2026년 소득4만弗 넘는 韓 G7 가입 자격 충분히 갖춰'민간 싱크탱크 니어재단경제규모·기술력 등 충족공급망 이슈 등 주도해야
Read more »
'선재앓이'에 잠 못 드는 나, 남편이 결국 폭발했어요tvN 드라마 열풍, 내가 변우석 매력에 푹 빠진 이유
Read more »
“아이유가 신더니 인기 폭발, 없어서 못판다”…복고 열풍에 이 브랜드 1조클럽 ‘눈 앞’뉴발란스, 복고 열풍 힘입어 실적 날개 국내 판매 15년 만 매출 50배 성장
Read more »
불혹 맞은 풀무원 “대체식품 글로벌 1위로 도약”1984년 첫 유기농 식품사로 출발 “바른 먹거리로 K푸드 열풍 선도”
Read more »
일주일 만에 1천만 원어치 완판... 곰팡이에 뭘 한 거야[ESG 세상]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식품, 균 대체육
Read more »
유럽발 '인권·환경' 실사... 대변화 피할 수 없게 됐다[ESG 세상]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의 제도화 동향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