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피해자들과 시민단체 대표 "부분·자율·차등배상 거부한다"
'가상화폐와 탈세 등 범죄자금 환수국민연대'를 비롯한 14개 시민단체 회원들과 홍콩H지수 기초 ELS 피해자 등 약 40여 명이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정문 앞에 모였다. 이들은 ELS 금융사기 관련자 180인 검찰고발 및 원금과 이자 등 피해전액 배상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 뒤, 고발장 등을 금감원 민원실에 접수했다.
고발된 금융기관과 임원급 인원은 KB금융그룹 37명 , 신한금융그룹 30명 , 하나금융그룹 38명 , 농협은행 26명 , 삼성증권 15명 , 미래에셋증권 11명 , 한국투자증권 11명 등이다. 별지 1과 같은 금융업계 저명인사 다수가 포함된 이들 180인이 위반한 혐의가 있는 법률과 죄명 등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금융소비자보호법', '은행법' 등 위반, 직무유기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 방해죄 등이었다. 이어"21대 총선을 두 달 앞둔 2020년 2월, 파생결합펀드 대규모 손실사태와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중단 사태가 벌어지자 당시 금감원장 윤석헌은 국회 정무위에 출석해 '자율조정을 통한 배상', '80%까지 배상' 등을 언급했다. 최근 이복현 현 금감원장이 밝힌 ELS피해배상 원칙과 거의 똑 같다"고 평가한 뒤"투자손실 자율배상은 법적으로 금지된 처벌대상이라 위법성을 부정하는 금융기관이 자율배상을 수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고위험상품 실태조사강화, 자율배상, 부분배상, 차등배상 등은 피해자들을 갈라치기 함으로써 그 힘을 약화시킴은 물론 금융당국이 감독관리 책임을 모면하고 처벌을 회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규탄했다.
이어서 허영구 평등노동자회 지도위원 및 이호승 전국철거민협의회중앙회 상임대표 등이 이구동성으로"금융사기 없는 세상을 위해 ELS피해자 등과 지속적으로 연대하고 협력하겠다"고 발언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6개월간 성추행에 2차 가해까지... 경북 안동의 한 중학교 교장 파면 촉구경북교육단체 "교육청이 피해자 보호조치 않는 동안 피해자 스스로 보호, 2차 가해에 피해자와 가족 불안 떨어"
Read more »
아동 성범죄, 협박 당한 피해자 ‘자기 촬영’ 크게 늘었다…피해자 평균 연령 ‘13.9세’로 하향유인이나 협박을 당한 아동·청소년 피해자가 자기 촬영해 성적 이미지를 만든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아동·청소년 성범죄 피해자의 연령은 최근 5년 사이 14.6세에서 13...
Read more »
'피해자 89.3%가 성실한 2030 청년... 정부가 손해 안아야'[인터뷰] 전세사기 피해자 135명 상담한 돈병원 서경준 원장
Read more »
벚꽃 흩날린 연트럴파크... '2030년 또 볼 수 있을까'녹색정의당, 막판 '기후' 표심 공략 "기후위기, 벚꽃과 사랑하는 사람이 피해자 되는 것"
Read more »
황정음, 엉뚱한 인물 ‘상간녀 지목’ 사과...소속사도 고개 숙여[전문]“황정음 부주의 깊이 반성·책임 통감...피해자 게시물 삭제해주길”
Read more »
전세사기 피해자란 이유로 파혼... 이게 다가 아닙니다[4·10총선] 전국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답해 주세요 ⑦_부산 전세사기 피해자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