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새 주식형펀드 돈 빠지고국공채 펀드에 1.5조원 유입금리하락땐 장기채 가격 상승평균 수익률도 회사채 웃돌아
평균 수익률도 회사채 웃돌아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채권형 펀드에 뭉칫돈이 유입된 가운데 국공채에 대한 투자 선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 달 새 국공채 장기물 상품의 경우 듀레이션에 따라 회사채 상품을 웃도는 수익률을 올렸다.
26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개월간 국내 채권형 펀드 설정액은 1조5649억원 늘어났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는 1조4111억원 감소한 점과 대비된다. 특히 국공채권형 펀드 규모가 2011억원 늘었는데, 이 기간 회사채권형 펀드는 422억원 쪼그라들었다. 국공채에 대한 선호는 장·단기물을 가리지 않았다. 최근 1개월간 가장 설정액이 많이 늘어난 국공채권형 펀드는 KBSTAR 단기국공채액티브 ETF였다. 뒤이어 ACE 국고채10년, ARIRANG 국고채30년액티브, KOSEF 10년국고채,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순이었다.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향후 금리 인하를 전망할 경우 장기채에 투자하는 게 듀레이션 효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며"국공채에 투자하는 경우 펀드가 개인에게 더 접근하기 좋은 측면이 있으며 특히 ETF는 실시간 매매가 가능해 금리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자수익만 과세하는 개별 채권과 달리 채권 ETF는 매매차익에도 세금을 부과한다.
최근 한 달간 펀드 평균 수익률도 국공채가 회사채보다 더 높았다. 국공채권형 펀드 평균 수익률은 이 기간 0.97%로 회사채권형을 웃돌았다. 지난 일주일로 기간을 좁혀봐도 국공채권형 펀드 수익률이 0.45%로 회사채권형 평균의 2배였다. 정형주 KB증권 연구원은"지난주 회사채 스프레드는 대부분의 섹터에서 축소됐다"고 말했다. 개별 상품으로 따져보면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가 지난 한 달간 3.64%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 국내에 상장된 유일한 국채 장기물 레버리지 ETF다.증권가에서는 오는 7월이 되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대외 통화정책 이벤트를 소화한 상황에서 국내는 저축은행 실적과 금융기관 연체율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관련 구조조정 압력이 증대된 것을 확인했고 연착륙을 위한 대응이 나오고 있다"며"국고채 10년 금리는 현 기준금리인 3.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제발 주가 떨어져라”…아침마다 소원 빈다는 ‘빚투’ 개미의 눈물코스닥 하락 베팅 ‘빚투’ 개미들 예상밖 상승에 눈물
Read more »
'떨어질 줄 알았는데…' - 매일경제코스닥 하락 베팅 '빚투'개미들 예상밖 상승에 눈물
Read more »
'올 미국 기준금리 인하 3번 아닌 2번 그칠수도'세계중앙은행 금리 슈퍼위크이번주 21개국 발표 앞둬19~20일 FOMC 결정 주목日, 마이너스 금리 해제 전망
Read more »
‘엔 캐리 트레이드’도 마침표 찍을까…촉각 곤두세운 ‘일학개미’들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종료하면서 일본 증시에 대거 투자한 ‘일학개미’들도 글로벌 자금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금리 인상 이슈가 이미 시장에...
Read more »
日 ‘금리있는 세상’ 시작…닛케이 상승에 엔저는 지속[17년 만에 금리 인상한 일본] 시중銀 보통예금 금리 20배로 대출금리는 당분간 영향 적어 일은 “양적완화 정책 지속”에 엔화는 매도 커져 151엔 추락
Read more »
일본은행 연내 또 금리 올릴 가능성...'7월 혹은 10월'지난 19일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를 선언한 일본은행(BOJ)이 연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마이너스 금리 해제에도 엔저가 계속되면서 물가가 대폭 상승할 경우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란 예측이 금융시장에 퍼지고 있다. 닛케이는 'Fed의 금리 인하 타이밍이 BOJ의 금리 인상과 겹치면 급격한 엔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국내외 정세를 참고하며 신중하게 추가 금리 인상 시기를 찾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