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가을 폭염'이라는 신조어를 낳을 정도로 무더웠던 지난 9월 냉방용 전기 수요 증가 영향으로 국내 최대 전력수...
차대운 기자='가을 폭염'이라는 신조어를 낳을 정도로 무더웠던 지난 9월 냉방용 전기 수요 증가 영향으로 국내 최대 전력수요가 역대 9월 중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9일 전력거래소의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최대 전력수요는 평균 78GW로 작년 같은 달 대비 약 6%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최대 전력수요는 하루 중 전력수요가 가장 많은 시간대의 전력수요를 뜻한다. 여름철에는 통상 오후 시간대에 접어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다.
한국전력이 집계하는 국내 전기 사용량 공식 집계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전기 사용량은 전력에 사용 시간을 곱해 산출되기 때문에 평균 최대 전력수요가 증가했다면 전반적으로 해당 기간 전기 사용량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9월은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선선해지고 낮 최고기온도 30도 밑으로 내려가 가을의 초입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지난 9월에는 한여름 수준의 늦더위가 이례적으로 오래 지속됐다.지난달 평균 하루 최고 기온도 29.6도로, 30도에 육박했다.이처럼 전기요금 할인이 없는 9월까지 늦더위가 계속됨에 따라 올해 일반 가정의 9월분 전기요금 부담은 예년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주택용에는 누진제 전기요금이 적용되는데, 냉방용 전력 사용이 많은 여름철인 7∼8월에만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전기요금을 할인해줘 냉방비 부담을 낮추고 있다.9월부터는 '여름 할인'이 끝나고 다시 전기요금 누진 적용 구간이 '200kWh 이하', '200kWh 초과 400kWh 이하', '400kWh 초과'의 3단계로 돌아온다.
가령 여름 전기요금 할인이 적용되는 8월 500kWh의 전기를 쓴 가정의 전기요금은 11만770원이다. 할인이 끝난 9월에도 같은 양의 전기를 썼다면 12만6천720원을 내야 한다. 날로 심해지는 더위로 소비자는 예년보다 더 많은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공급자인 한국전력은 누진제 적용 합리화 방안과는 별개로 국내 가정용 전기요금 수준이 세계 주요 선진국 대비 낮다는 입장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불황에 빚 못갚는 중기·개인사업자 늘었다…은행 대출 연체율 쑥자영업자 연체율 2년새 3.6배 뛰고 중기 신규 부실채권 13년만에 최대 당국, 연체율 추가 상승 가능성 촉각 영세차주 발길에 ‘급전 창구’ 북적 카드론 잔액 41.8조 사상 최대 또 경신
Read more »
이란 석유시설 타격 우려 … 국제유가 일주일새 9%↑WTI 11월 선물가격 74弗2년만에 주간 최대 상승폭사우디, 亞판매가 기습인상
Read more »
“청약통장 해지하지 말걸” 무용론 확산에 더 강력해진 혜택금리 최대 3.1%로 0.3%P 인상 월 납입 인정액 25만원으로 상향
Read more »
“투기 조장” vs “계약 조력”…5대 은행 주담대 절반 ‘이들’ 거쳤다는데집값 상승 속 모집인 의존 심화 지난 4월 사상 첫 10조원 돌파 모집인 3000명에 수수료만 월 400억원 내외
Read more »
‘저출생 바닥일까’ 7월 출생아수 17년만 최대 폭↑···혼인 건수 증가 폭 ‘역대 최대’7월 출생아수가 2만명을 돌파하면서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혼인 건수도 30% 증가율을 보이며 7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출생·혼인 건수가...
Read more »
[매경이코노미스트] 전력망 확충, 정치권이 나서라수도권 전력수요 급증해도송전선로는 턱없이 부족반도체·AI 첨단산업 발맞춰전력망 구축에 재정 투입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