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25일 검찰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기소 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배우자 김혜경 씨에게 벌금 ...
홍기원 기자=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25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에서 열리는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4.7.25 [email protected]이날 오전 수원지법 형사13부 심리로 열린 김 씨의 선거법 위반 사건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본건은 피고인이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를 민주당 대선 후보로 당선되게 하기 위해서 전·현직 국회의원 배우자를 매수하려 한 범행으로, 기부행위 금액과 관계없이 죄질이 중하다"며 이 같은 형을 선고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9시 37분부터 약 1시간 20분간 ▲ 공소사실 요지 ▲ 피고인과 공범 간 공모관계 인정 근거 ▲ 피고인과 증인들의 허위 증언 및 근거 없는 주장 등을 피력하며 최후의견을 발표한 뒤 구형했다.김칠준 변호사는"검찰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문제의 식사 모임 전후의 선거운동 과정, 식사모임 결제 행태, 피고인과 배 씨와의 관계 등 간접 증거만 나열하며 피고인이 죄를 범했다는 인상을 남기는 데 주력했으나, 논리나 경험칙이 부재한 간접 정황만으로 공소사실이 인정되는 건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변호인은"배씨는 제3자 기부행위를 제한한 선거법 115조 위반 혐의로 기소돼 유죄 판단을 받았고, 피고인은 후보자와 그 배우자 등의 기부행위를 제한한 같은 법 113조로 기소됐다"며"이에 대한 명시적인 판례는 없지만 배씨의 기소로 피고인의 공소시효가 정지됐다고 볼 수 없다는 게 변호인 의견"이라고 밝혔다.김 씨는"남편이 비주류 정치인으로 살면서 많은 탄압을 받았다. 그래서 저는 항상 '꼬투리 잡히지 말아야지' 하며 긴장하고 산다"고 말하며 울먹였다.
김씨는 이 전 대표의 당내 대선후보 경선 출마 선언 후인 2021년 8월 2일 서울 모 음식점에서 민주당 전·현직 국회의원 배우자 3명 및 자신의 운전기사와 수행원 등 3명에게 총 10만4천원 상당의 식사를 제공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檢, 선거법 위반 혐의 김혜경에 벌금 300만원 구형…'죄질 중해'(종합)(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25일 검찰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기소 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배우자 김혜경 씨에게 벌금 3...
Read more »
[속보]검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김혜경씨 벌금 300만원 구형제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의 부인 김혜경씨에 대해 검찰이 벌금 300만원 구형했다. 수원지법 형사13부 심...
Read more »
'범행 중대성' 강조한 검찰, 법카 10만 4천원 김혜경에 300만원 구형검찰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배우자 김혜경씨에게 벌금 300만 원을 구형했다. 25일 수원지법 형사13부(박정호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김씨의 선거법 위반 사건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 1시간 25분에 걸쳐 구형을 위한 최종 의견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검찰은 '피고인(김혜경...
Read more »
'마약 투약 혐의' 유아인, 징역 4년·벌금 200만 원·추징금 154만 원 구형마약 상습 투약 혐의를 받는 배우 유아인(본명 엄홍식)이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1심 5회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김현우 엔터뉴스팀 기자 kim.hyunwoo3jtbc.co.kr (콘텐트비즈니스본부) 마약
Read more »
“이재명 재판에 결정적 변수 될까”…이화영 이어 김성태도 징역형뇌물공여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1심서 징역 2년6개월형 선고
Read more »
'단순 사고 아니다' 아리셀 유가족, 대표 등 고발중대재해처벌법·화학물질관리법 등 5개 법률 위반 혐의
Read more »